11월 과일류 농업관측

11월 노지온주 출하량 전년대비 6% 증가 2022년 단감 생산량 전년대비 12% 증가 전망

2022-11-16     원예산업신문

2022년산 사과·배 저장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생산전망 = 2022년 사과 생산량 전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사과 생산량은 작황 호조로 단수가 늘어 전년 대비 2% 증가한 52만 5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가을철 기상 호조로 과 비대 원활하고 병 발생이 적어, 단수 전월(1,472kg/10a) 대비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병해충 피해 감소로 상품과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출하전망 = 11월 사과 출하량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사과 출하량은 후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저장 가능한 상품과 및 대과 증가로 평년 대비 저장 의향 증가한 것으로 예측된다.
11월에 출하될 사과 품질은 기상 여건이 좋아 전년 대비 양호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금년에는 과 크기 및 착색이 전년 대비 좋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후지 가격 전년 26,400원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후지 도매가격은 27,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출하량 증가하나, 착색이 양호하고 대과가 많은 등 품질이 좋아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된다.

■배
△저장전망 = 2022년산 배 저장량 전년 대비 2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 저장량(11월~익년 7월)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15만 3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추석 전후 소비 부진으로 잔여 물량이 많았고, 작황 호조로 저장 가능한 상품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1월 배 출하량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배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정형과 착과율이 높아 모양은 전년 대비 좋고, 일조량 증가로 당도 높아 전반적인 배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12월 이후 배 출하량은 저장량이 많아 전년 대비 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설 명절 출하를 위해 대과 및 상품성 좋은 배를 저장하려는 농가 의향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신고 가격 전년 42,4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신고 도매가격은 34,000~38,000원/15kg 내외로 전망된다.

■감귤
△생산전망 = 2022년 노지온주 생산량 전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온주 생산량은 전년 대비 3% 감소한 45만 2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면적 비중이 큰 서귀포시 해거리현상과 생리낙과량 증가 등 단수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1월 노지온주 출하량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노지온주 출하량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유라 등 극조생 품종 재배면적 확대와 큰 일교차로 착색 빨라 조기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예측된다.
12월 이후 노지온주 출하량은 생산량 감소로 전년 대비 6%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11월에 출하될 노지온주 품질은 전년 대비 양호한 것으로 보이며, 수확기 건조한 기후로 전년 대비 당도 높고, 돌풍 및 태풍 피해 적어 외관이 양호한 편이다. 다만, 주당 착과량에 따라 과 크기 편차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가격전망 = 11월 노지온주 가격 전년 9,4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노지온주 도매가격은 8,500원/5kg 내외로 전망되며, 출하량 증가하나, 품질 양호하여 가격 하락폭 축소가 예측된다.

■단감
△생산전망 = 2022년 단감 생산량 전년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감 생산량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1만 2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착과수가 증가하고, 생육기 기상 호조로 단수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생육기 가뭄과 태풍으로 인한 낙엽 피해로 과 비대가 정체되어 생산량 전망치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출하전망 = 11월 단감 출하량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및 12월 이후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각각 6%, 1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부유 가격 전년 36,5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부유 도매가격은 25,000~29,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품위 간 가격 격차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포도
△출하전망 = 11월 샤인머스캣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및 12월 이후 샤인머스캣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각각 38%, 3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금년 1~3월 가격 높고, 노지 수확기(9~10월) 가격 하락으로 농가 저장 의향 증가가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샤인머스캣 가격 전년 24,7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샤인머스캣 도매가격은 12,000~16,000원/2kg 내외로 전망된다.

■수입과일
△바나나 = 11월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동향은 필리핀의 수입 원가 상승 및 국내 소비 부진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11월 전망은 국내산 대체 과일(단감, 귤 등)의 출하량 증가로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파인애플 = 11월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동향은 필리핀의 작황 호조로 전년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11월 전망은 필리핀의 수입 원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망고 = 11월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동향은 태국의 강우 피해로 작황이 부진하여 전년 대비 3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11월 전망은 태국의 수입 원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키위 = 11월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동향은 뉴질랜드의 작황 호조로 전년 대비 19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11월 전망은 뉴질랜드산 재고 누적으로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