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딸기 ‘미하’ 현장 평가회
수량 50% ↑ 단단하고 모양 좋아 수출·내수용 모두 적합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지난 9일 경남 합천군 가야면 딸기 재배 농가에서 여름딸기 ‘미하’ 현장 평가회를 열었다.
현장 평가회에는 여름딸기 재배 농가와 유통·종묘 업체, 연구기관, 농업기술센터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해 ‘미하’ 생육 상황을 살펴보고 수출 가능성을 평가했다.
2019년 개발된 ‘미하’는 딸기가 생산되지 않는 6~11월에 안정적으로 재배, 생산할 수 있는 여름딸기로 더운 날씨에도 과육이 단단한 품종이다.
수량은 10a당 약 3.3톤으로 한때 우리나라에서 재배해 수출한 외국 품종 ‘플라멩고’보다 2배가량 많다. 또한 기존 국산 여름딸기 ‘고하’(경도 26.1g/mm2)보다 더 단단(경도 36.2g/mm2)하고 모양도 좋다. 크기는 중소형(평균 13.7g)으로 큰 편이며, 원뿔 모양(원추형)으로 자라 제과용에 적합하다.
‘미하’는 수량이 많을 뿐 아니라 모양이 중요하고, 경도가 높을수록 수출에 유리한 여름딸기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 수출 전용품종으로 기대를 모았다.
최적의 재배지는 해발 500미터 이상의 고랭지이며, 현재 강원도 평창, 전북 무주, 경남 합천 등지에서 계약재배돼 전량 제과업체에 납품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경남 합천군 가야면 고랭지 지역에 여름딸기 수출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9~10월 사이에 동남아 지역에 ‘미하’를 과실로 수출할 계획이다.
가야면은 해발 800미터의 고지대로 여름 파프리카 수출단지였으나 최근 엔화 약세와 유류비 증가 등으로 일본 수출이 중단돼 올해부터 새로운 고소득 작목인 여름딸기 재배단지로 전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