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과일류 농업관측

감귤 8월 이후 출하량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 캠벨얼리·거봉 도매가 전년대비 ↑ 샤인머스캣 ↓

2022-07-13     원예산업신문

배·포도·복숭아 생산량 전년대비 증가, 사과는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생산전망 = 2022년 사과 생산량 전년과 비슷, 평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발표(6.29.), 금년 사과 재배 면적 전년대비 1% 증가한 34,644ha로 전망된다.
사과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한 51만5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생육상황 양호하나, 후지계열 품종의 해거리 발생으로 전년대비 단수는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홍로 생산량은 착과수 3% 증가로 8만3천톤 내외 예상되며, 추석 성수품 공급은 원활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7월 사과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산 후지 저장사과는 7월 출하량 전년대비 4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전년도 5월 이후 급격한 가격 하락으로 금년 5월 출하 종료한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햇사과(쓰가루,썸머킹등) 7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3% 감소헌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 및 착과수는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사과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후지도매가격은 전년 23,700원 대비 상승한 35,000원~40,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수확기 잦은 강우와 장기저장에 따른 품질저하로 등급 간 가격폭 확대 예측이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쓰가루도매가격은 전년 35,100원 대비 상승한 35,000원~39,000/10kg 내외로 전망되며, 쓰가루 평년(′17~′21)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32,000원/10kg 내외로 전망된다.

■배
△출하전망 = 7월 이후 출하량 전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산 배 생산량 전년대비 59% 많아 저장배 물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생리장해(무름과, 과피얼룩등) 발생이 늘어 전반적으로 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7월 신고 가격 전년 84,9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신고도매가격은 62,000∼67,000원/15kg 내외로 전망되며, 품질 저하로 등급 간 가격폭 확대가 예측된다.
△생산전망 = 2022년 배 생산량 전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발표(6.29.), 금년 배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9,687ha로 전망된다.
배 생산량 전년대비 18% 증가한 24만7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착과수 및 봉지수 전년대비 증가, 기상호조로 단수는 18%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감귤
△출하전망 = 7월 하우스온주 출하량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하우스온주 출하량은 가온 재배면적이 늘어 전년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가온시기가 7~15일 지연되어 7월에 출하가 집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우스온주 품질은 소과 비율이 높고 당도도 높아 전년대비 양호할 것으로 예측된다.
8월 이후 출하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하우스온주 가격 전년 22,1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하우스온주 도매가격은 18,000~22,000원/3kg 내외로 전망된다.

■포도
△생산전망 = 2022년 포도 생산량 전년 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발표(6.29), 금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14,655ha로 전망되며, 작형별로 시설 재배면적 전년대비 30%, 노지는 5%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생산량 재배면적 및 단수 증가로 전년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시설 및 노지포도 생산량은 전년대비 각각 32%, 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7월 캠벨얼리·거봉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감소, 샤인머스캣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캠벨얼리·거봉 출하량은 샤인머스캣으로 품종을 전환,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대비 각각 4%, 1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샤인머스캣 출하량은 재배면적 증가 및 유목의 성목화로 전년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캠벨얼리·거봉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샤인머스캣은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캠벨얼리 도매가격은 전년 25,900원 대비 상승한 26,000~30,000원/3kg 내외로 전망되며, 거봉 도매가격은 전년 21,800원 대비 상승한 23,000~27,000원/2kg, 샤인머스캣 도매가격은 전년 42,600원 대비 하락한 36,000~40,000원/2kg 내외로 전망된다.

■복숭아
△생산전망 = 2022년 복숭아 생산량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발표(6.29.), 금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4% 증가한 20,315ha로 전망된다.
복숭아 생산량 재배면적 및 단수 증가로 전년대비 7% 증가한 20만3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품종별로 천도계, 유모계 전년대비 각각 7%, 8%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7월 복숭아 출하량 전년 대비 8%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천도계, 유모계 출하량 전년대비 각각 5%, 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당도 등 품질 양호하나, 과 비대 부진으로 대과 비율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복숭아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백도 도매가격은 전년 22,100원 대비 하락한 16,000~20,000원/4kg 내외로 전망되며, 선프레 도매가격은 전년 20,400원 대비 하락한 14,000~18,000원/10kg 내외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