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보유작물 생육상태 빅데이터 전면 개방
빅데이터 활용으로 생산성 높이고, 부가가치 창출
앞으로 농업인은 공공데이터를 통해 자신이 재배하는 작물에 최적화된 환경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활용해 소득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연구와 농업 현장에서 취득해 국가기관이 보유 중인 빅데이터를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노지, 시설, 축산, 연구 분야 1,882개소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를 빅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해 분석, 처리해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서비스되고 있는 생산성 향상 모델은 농가 온실에 실제 적용돼 농가소득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개인용 컴퓨터(PC)나 이동통신(모바일)으로 누구나 접속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누적 조회수는 (2022. 1.25. 기준) 3만 2,165건이며, 월평균 이용자는 1,399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최적 환경설정 안내서비스 우수사례들을 모아 ‘2021년 디지털농업 우수성과’ 책자를 발간했으며, 파일(PDF)로 공유하고 있다.
또한, 민간기업에는 에이피아이(API)를 연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 국민에게는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무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스마트팜 모델, 농업기술 교육 동영상 등을 농협조합원을 위한 ‘오늘농사’ 앱에 연계해 서비스하고 있다.
㈜그린랩스, ㈜아이들 등 민간 새싹기업(스타트업)들은 토양 데이터, 기상정보 등을 연계해 자사 회원을 대상으로 서비스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추진단 성제훈 단장은 “농업 분야의 품질 좋은 데이터 수집을 확대하고 개방·공유하여 민간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선순환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