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노지 서릿발 피해 대비 땅누르기·흙덮기 실시 인삼밭 과습방지 두둑·고랑 배수관리 철저

2022-02-25     원예산업신문

△마늘·양파 = 얼었던 땅이 풀리면 웃거름을 주도록 하고 생육 상태에 따라 비료량을 조절하여 너무 많은 양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한 포장에서 땅이 얼었다가 녹을 때 서릿발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솟구쳐 올라온 포기는 즉시 땅에 잘 눌러주고, 뿌리가 완전히 묻히도록 흙덮기를 실시한다.
잡초의 발생이 많으면 양파 수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에 제초해 주도록 하고 작업 시에는 뿌리나 잎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한지형마늘은 잎(싹)이 10~15cm 정도 자랐을 때, 맑고 따뜻한 날 2~3일 전에 구멍을 내어 순화시킨 후 비닐 밖으로 꺼낸다.
연약하게 자란 포장이나 물빠짐이 불량한 곳에서 노균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한다.

△봄배추 = 모기르기 후기에 비료가 부족한 경우도 있으므로 아주심기 약 일주일 전부터 요소 0.1% 액을 2~3일 간격으로 뿌려주어 생육 촉진한다. 물주는 시기는 가장자리 모가 약간 시들어 보일 때 충분한 양의 물을 주는 것이 좋다.
너무 자주 물을 주면 모가 웃자라기 쉬우므로 주의하고 육묘상의 온도를 최저 13℃ 이상으로 관리하여 추대(꽃대 신장) 예방한다.

△좋은 묘목 선택요령 = 사과는 품종이 정확하여야 하고 대목은 자근으로 잔뿌리가 많고 심을 토양에 알맞아야 하며 병해충(바이러스)이 없어야 한다.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붙어 있어야 하고 재식 후 토양이 안정된 상태에서 대목을 15~20cm 정도 노출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접목부위 위쪽 10cm 위치의 줄기 직경이 11mm 이상이면 적합하고 접목부위에서 40cm 웟부분 부터 길이 30~60cm 측지가 10개 이상 발생된 묘목이면 좋다.
측지는 분지 각도가 넓고 세력이 너무 강하지 않으며 공간적으로 골고루 위치하면 좋다.
배는 영년생 작물로서 품종이 정확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받게 되므로 정확한 품종을 선택하고 뿌리의 절단면이 적고 발달이 좋고 생기가 있으며 나무껍질은 윤기가 있어야 한다.
가능한 한 뿌리가 많이 상하지 않게 잘 굴취한 묘목을 선택하여 포장이나 수송 시 잎눈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잘 붙어 있는 묘목, 웃자란 묘목은 재식 후 가지 발생이 적고 겨울철 동해나 건조에 약하여 고사하는 일이 많다.

△묘목심기 =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다.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하순까지는 심어야 한다.
심는 거리는 과종, 토양의 비옥도, 품종의 수세, 나무모양 및 전정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훼 = 국화 차광재배는 여름에 인위적으로 단일처리(암막 시설)를 하여 개화를 앞당기는 재배방법으로 2∼5월에 정식하여 6∼9월에 출하한다.
정식과 관리는 작형이나 품종, 재배 지역의 기상, 특히 일조량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많이 사용하는 정식방법은 6줄, 8줄심기 등이 있다.
정식주수는 국내에서는 3.3㎡당 120~150본씩 정식하여 대부분 무적심재배하고 있다.

△인삼 = 봄철 얼었던 땅과 쌓였던 눈이 녹으면서 물이 고이는 고랑이나 배수가 불량한 인삼밭에서는 과습으로 인해 인삼 뿌리가 부패하거나 2차적으로 병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두둑 및 고랑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폭설 등으로 피해를 입은 해가림 시설은 우선 복구해야 하며, 폭설 대비로 걷어두었던 차광망(지)은 다시 씌워 저온피해를 예방한다.
차광망(지)를 씌우면 인삼밭 두둑의 온도 변화가 줄어 인삼 머리가 부패되는 것과 조기 출아 때 겪을 수 있는 늦서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차광망(지)을 설치할 때 인삼밭 둘레에 개량울타리를 둘러주면 싹이 틀 때 강풍에 의한 줄기 상처를 줄여 점무늬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2. 2. 28. ~ 3. 6.)[기상청 발표(‘22. 2. 24., 6:00)]
(기온) 아침 기온은 –6~7℃, 낮 기온은 5~15℃로 어제(23일, 아침 최저기온-15~-2℃, 낮 최고기온 –1~5℃)보다 높겠음.
(강수) 3월1일 오전에는 전남권과 경남권, 제주도에 비가 오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2. 2. 28. ~ 3. 6.)[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9호]
(벼농사) [볍씨준비] 보급종 종자신청 못한 농가 우량종자 자율교환 종자 확보 [농기계 점검] 연료탱크, 엔진오일, 냉각수, 배터리 점검 및 정비
(밭작물) [감자] 겨울시설재배 적정 온도 및 수분 유지, 봄재배 산광싹틔우기 실시 [고구마] 씨고구마 준비 및 소독, 육묘온상 적기 설치 [콩·팥 종자] 콩·팥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품종 및 물량 신청
(채소) [마늘·양파] 웃거름주기, 서릿발 피해, 잎 꺼내기, 노균병, 흑색썩음균핵병 방제 [고추] 육묘상 중기 관리, 물주는 방법, 모잘록병 예방, 저온피해 엽면시비 [봄배추] 육묘상 온도·수분·비료관리, 추대예방 적정 온도(13℃ 이상) 유지
(과수) [묘목선택]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단감 좋은 묘목 선택요령 [동계전정] 과수원 청결 관리, 작업 도구 소독, 주변 과수원 방문 자제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