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요의 현장 애로기술(9)
2007-03-05 원예산업신문
■방울토마토 줄기 이상증상■경남 남부해안의 중심부에 위치한 어느 군의 방울토마토 재배 농가로부터 000영양제 사용 후 방울토마토의 상위 엽이 위축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의 원인 규명 요청에 따른 현장 기술지원 사례이다.지난해 12월 상순, 경남 남부해안의 중심부에 위치한 어느 군의 농업기술센터로부터 관내 방울토마토 재배 농가에서 000영양제사용 후 방울토마토의 상위 엽이 위축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이의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 기술지원 요청으로 농촌진흥청의 전문가 4명은 관계기관 직원의 안내를 받아 피해발생 농가를 찾았다.농가의 방울토마토 재배면적은 1~2W형하우스 800평, 2006년 9월 23일 40일 묘 방울토마토 꼬꼬를 1.8m이랑에 40cm간격으로 2줄로 정식하여 재배하고 있었다.생육상황은 4~5단 화방이 개화 착과 중이나 마디간격이 짧고 영양생장이 다소 강하여 우글쭈글한 축엽 현상이 일어나면서 소엽화와 함께 줄기가 뒤틀리고 있었는데 특히 하우스 출입구 및 가장자리 잎의 뒤틀림 및 위축현상이 심하였다.농가의 주장에 의하면 2005년도 12월 26일 000영양제(4종복비)를 표준 사용량의 3배정도로 물에 희석하여 점적관수를 통하여 관주 처리한 결과, 2006. 1. 12일부터 이상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가운데 7. 15에 최종수확을 완료하였으며, 다른 농가는 초기에 이상증상이 나타났으나 곧 회복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번 작기는 2006. 8월 휴경기 중간에 5일정도 담수하였고, 정식하기 전 요소 40kg, 볏짚 1,500kg을 시용하고 토양을 약 30cm정도로 깊게 경운한 후 9월 23일에 정식하였는데 10월1일경(이번 작기는 000영양제 미살포) 또다시 이상증상이 발견되기 시작하여 지금과 같은 현상이 나오는 것은 분명히 000영양제 피해라고 하였다.농가의 이러한 주장과 함께 전문가 일행은 우선 방울토마토의 발육단계별 생육상태를 진단하였는데 본 토마토의 생육초기단계를 조사해본 결과 꼬꼬 품종은 조생종으로 흡비력과 초세가 강해 3~4화방 부근에 이상줄기가 많이 발생하는 품종인데도, 적령묘 보다 어린 묘를 정식했고, 1~3단까지의 잎은 지나치게 엉켜있었으며, 식양토인 포장은 과도한 양수분 공급으로 이상경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 원인 중의 하나로 추정되었다.생육중기단계에서는 4~5단 화방이 생장 중이나 제3화방 부근에서부터 마디 사이가 아주 짧아진 이상줄기 현상과 순멎이가 매우 심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잎은 심하게 뒤틀려지고 가늘어 지 극도로 짧고 줄기가 움푹 들어가 갈변되거나 반대쪽까지 구멍이 뚫려 있는 것으로 보아 이상줄기가 4~5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보아 이러한 현상은 광 강도와 온도가 높으면 쉽게 회복이 가능하고 증상도 경미해질 수 있으나 계절적으로 광 강도가 약하고 온도가 낮아져 양분 전류의 불량으로 이상줄기와 순멎이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이상현상을 초래하게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한편 토마토 유인과 생장조정제 처리에서 농가는 장기재배를 위하여 초형을 낮게 하고, 토마토톤을 150~200ml/20ℓ로 희석하여 소형 분무기로 화방당 3회 정도 과다 분무하여 농도과다 장해증상을 일으키게 된 원인 중 하나로 볼 수 있었으며, 피해농가가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는 000영양제 피해에 대하여 약 2개월간의 실내 분석에서는 이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분 분석에서도 GA3, BA, 2,4-D 등 생장조절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식물체 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질소와 인산 성분이 과다흡수 되었으며, 이상증상 주의 유엽에서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방울토마토의 적적범위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고 미량원소인 망간과 붕소의 함량도 적었는데 어린 엽의 낮은 붕소함량은 토양 내 인산과 칼리의 집적으로 염류농도가 높아지고 생육 중기 이후의 낮은 밤 온도로 붕소 흡수가 저해되었음을 명확히 입증해 주고 있다, 따라서 영양생장 과다로 나타난 이상줄기인 비대 경과 순멎이 현상은 붕소 부족으로 더욱 촉진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토양분석 결과 pH가 다소 높고 유효인산, 칼슘, 마그네슘 등의 염류농도가 적정치 보다 지나치게 높아 이상 비대경이 유기되었고 착과 촉진제의 과잉 살포로 엽내 옥신농도가 높아져 상부 엽의 위축현상을 더욱 촉진시켰을 가능성이 크다.앞의 내용을 다시 종합해보면 이상줄기와 순멎이가 발생한 원인은 초세가 강한 품종을 적령보다 어린 묘 상태로 정식하였고, 염류농도가 높고 토성이 점토비율이 높아 과도한 양수분이 공급된 점, 그리고 낮은 밤 온도와 밀집 초형에서 착과촉진제 토마토톤의 살포( 3회/1화방)로 옥신의 축적농도가 증대된 것이라 볼 수 있다.식물체 분석결과 어린잎의 낮은 마그네슘과 망간의 함량은 잎의 위축에 의한 엽록소의 감소 현상과 관련되며, 토양 분석결과 유효인산의 집적이 많고 칼리,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이상 비대경 발생과 영양생장 과다의 원인을 제공 했으며, 영양생장 과다로 발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