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연 시리즈(조영식 배시험장 농업연구사 281)
2007-02-16 원예산업신문
■ 월동기 배과원의 효과적인 병해충관리 방법 ■▲배 과원 동계 병해충 관리의 중요성농가에서는 과실을 수확한 후에는 경영비의 절감을 위하여 병해충에 대한 약제살포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이 관행이다. 그러나 배 재배기간 중에 병해충이 만연한 해에는 수확 후에 적절한 방제를 한다면 이듬해 병해충의 발생 밀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병해충은 본격적인 배 생육기에는 보통 수십배에서 수만배까지 발생밀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는데, 초기 병해충 발생 밀도를 얼마 만큼 낮춘 상태에서 한 해 농사를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한 해의 방제 비용이 결정되고, 소홀히 하는 경우는 많은 방제비용을 지불하고도 병해충 방제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최근 농산물인증 단계에 따라 인증을 취득한 농가별로 재배시기에 만족 할 만한 방제작업을 하지 않아, 겨울철에 병해충의 밀도를 적절히 낮추지 못하면 다음 해에 병해충으로 인하여 과실에 직접적인 피해는 물론 배나무의 생육장애를 초래하여 농가경영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겨울철관리는 필수라고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월동 병해충 방제법배 재배에 문제되는 주요 병해는 검은별무늬병(흑성병), 붉은별무늬병(적성병), 겹무늬병, 과피얼룩반점병이 있으며, 주요 해충은 복숭아순나방, 응애류, 진딧물류, 가루깍지벌레류, 잎말이나방류, 꼬마배나무이 등있다. 이들 병해충들은 과원 내의 낙엽, 가지, 배나무 수피 밑, 잡초 등이나 인접한 과원에서 월동을 한다. 2007년 1월 중순에 나주시험장 시험포장에서 꼬마배나무이의 월동충을 조사한 결과, 25㎠의 나무껍질 틈에서 평균 9마리가 발견 되었으며 이 중 92.3%는 생충 상태를 보였다. 월동하는 병해충의 밀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첫째, 배를 가해하는 병해충들은 대부분 배나무, 포장, 낙엽, 병해충 피해과일, 봉지, 과수원 주변 등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잠복처를 제거해야 한다. 농약을 이용하지 않고 피해 낙엽 및 주변 잡초류와 많은 해충종이 거친 껍질 속에 숨어 있으므로 나무껍질을 벗기고 나무껍질에 붙은 해충이 지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잘 모아서 태우거나 과원을 경운하여 땅 속에 매몰시켜 부식시키는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한다. 더불어 겨울 전정시에는 월동이 예상되는 이병된 가지 등은 우선 제거하는 것을 고려한다.두 번째, 화학적 방제법으로 기계유유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기계유유제는 곤충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질식시켜 죽이는 살충제이므로 특정약제에 저항성이 생긴 해충방제에도 효과적이다. 옛날에는 수세가 약한 나무나 거친 조피가 생기지 않는 유목에서는 살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지만, 최근에는 꼬마배나무이 등 일부 문제 해충으로 인하여 대부분 농가에서 매년 살포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사용시기 및 살포방법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해 일부 과원에서는 방제 효과가 떨어지는 곳도 있다. 가장 효과적인 기계유유제의 살포시기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살포 최적기는 월동 해충의 호흡이 왕성해지는 시기이지만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는 시기와 20일전후의 간격을 유지되어야 함으로 대체로 3월 상순경에 살포한다. 요즘 전국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꼬마배나무이의 방제 목적으로 살포 할 때는 지역별로 기상 자료를 기준하여 2월 1일부터 최고온도가 6℃ 이상되는 날짜수가 16~21일되는 시기에 살포하며, 이 시기에 살포하면 꼬마배나무이가 가지에 부착된 상태로 죽거나 꽃눈 등 단과지와 줄기에 산란을 기피하는 작용을 한다. 기계유유제가 부착되지 않는 곳에 꼬마배무이가 산란을 하는 경우와 산란 후 기계유유제를 살포했을 경우에는 산란된 알에 대한 기계유유제의 방제효과는 극히 낮아지므로 월동 꼬마배나무이가 산란하기 전에 살포해야 한다. 2006년에 지역별 기계유유제 살포적기는 아래표와 같다.기계유유제의 살포 농도는 월동기에는 25배 희석액 전후이며, 올바른 살포방법은 껍질 속에 숨어 있는 월동해충을 죽이기 위해 고압분무기의 압력을 높이고, 충분한 물량을 살포하여 조피 속까지 약제가 스며들도록 해야 한다.세 번째,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여 월동병원균을 줄이는 방법이다. 석회유황합제는 접촉독으로 작용하는 보호용 살균제이며, 응애류, 진딧물류, 꼬마배나무이 등에 대한 방제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병원균의 활동은 월동직후에는 미약하여 휴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화제 등의 살균제만으로는 방제가 곤란하다. 그러나 석회유황합제는 균체 및 이병조직을 부식시키며, 병원체에 들어간 황은 자체 또는 조직내에서의 탈산소작용을 유도하여 살균 및 살충작용을 한다. 석회유황합제가 부착된 부위에서는 약효지속기간이 길기 때문에 병원균이 자라지 못한다.살포방법은 석회유황합제는 부착성이 낮으므로 전착제와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살포 농도는 7~9배 희석하며, 살포량은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