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함께하는 농업기술박람회(과수분야)

2007-02-12     원예산업신문
● 경기 배 수출단지 현장애로기술 해결 및 컨설팅 경기도 배 특화사업단(단장 이희재 서울대 교수 외 10명)생산적 측면에서는 신고배 고품질 규격과 생산을 위한 전정방법을 개발함은 물론 수세관리기준 제시, 개선 전정 방법이 과중, 횡경, 종경 등을 증가시켰고 정형과의 비율을 높였다. 그결과 상품과율이 60%에서 80%로 증대됐다. 또한 매년 반복되는 배나무 생육불량 및 괴사 현상 발생, 지하부를 정밀 조사해 백문우병을 진단하고 처방한 결과 문우병 감수율이 10%에서 0%로 ha당 300만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왔다. 신초고사원인 구명 및 방제기술을 개발, 발생원에서는 연 10%의 생산량 및 소득감소를 해결하기도 했다. 유통기술면에서는 신고배 주산지별 생산현황 및 품질을 조사, 경기배 우수성 홍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안성시 산지유통센터 자문을 추진, 시설비용의 13%를 절감토록했고, 저장고 400평을 확충했다. 신고배 수확후 품질관리기술을 개선해 저장시 과피 흑변과 발생 비율을 저하시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했다. 병해충 예찰 및 종합관리시스템을 활용, 농약사용량을 평균 14.1회에서 9회로 줄여 생산비를 감소함은 물론 지역별 배 과수원 토양 및 엽분석을 통한 지도관리를 통해 생리장해 원인 해결, 고품질과실 생산으로 상품과율 15%를 향상시켰다. 이외에도 지난해에는 주지 및 측지갱신기술 지도, 배과실 착색 및 당도 판정판개발, 배 상품화 전략을 위한 GS리테일 MD 초청 유통관련 자문, 평택 신고배 공동브랜드 슈퍼오닝 생산단지 육성 등 많은 컨설팅을 추진했다.● 친환경 배산업의 GAP 실천프로그램 개발 및 운용 전남 배 특화사업단(단장 김월수 전남대 교수 외 14명)무농약 배생산을 위한 생물농약을 개발, 활용토록함으로써 병해 예방 및 농약값의 50%을 절감했으며, 과실가격 또한 무농약 인증 배로서 30% 높은 가격으로 판매토록 했다.배 개화기 저온피해 조기경보시스템 개발에 의한 결실 안정으로 전남배 생산농가에서 약 66억원의 저온피해 경감효과를 가져왔으며, 특수배 봉지를 활용 만풍배 과피 착색장애를 해결했다.수출용 배 생산농가의 고품질 과실재배기술 및 선과 기술을 집중 지도, 수출배 합격률을 크게 높였으며, 명품 천수배와 무농약 녹우 배를 브랜드화해 품질의 고급화는 물론 농가소득을 크게 향상시켰다. 친환경배를 이용, 기능성배 와인 및 웰빙 배 발효두유, 배 녹차 드링크를 개발했으며, 배 첨단 선과장 및 친환경 파머스 마켓 전문점을 개관했다. 전남배 거점산지유통센터(APC) 건립에 따른 배 산업구조 혁신을 꾀해 나갔으며, 지역농업 특성화 교육단 배 교육과정 활성화를 통해 경영자의 경영능력을 제고해 나갔다.● 환경 친화형 고품질사과 생산 및 수확후 관리개선 충북사과 특화사업단(단장 임열재 건국대 교수 외 13명)농약방제횟수를 기존 12~15회에서 10회 이내로 줄임으로서 농약구입비 33.3%를 절감했으며, 인증비율도 크게 높였다. 수형개선에 의한 광투과량 증대로 수세안정 및 수량증대, 토양 및 엽 분석과 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한 사과 재배 적지 판정 및 기상재해의 신속한 대처로 사과 안전생산 토대 구축, 사과 생리장해 및 미량요소 결핍증상의 정확한 판단과 대처로 장해과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유도했다.서리피해 및 배수불량으로 인한 저 생산 사과원 비가림재배 실시로 병해충 방제횟수를 12회에서 6회 정도로 절감함은 물론 이로인해 소득이 10a당 180만원에서 46만원으로 향상됐으며, MCP처리로 장기 안전저장이 이루어지도록했다.이외에도 지난해에는 작목반 사과 수형 개선을 통한 수량증대 및 친화경 재배를 유도, 친환경 관련 인증 증가, 밀식재배과원수고 향상, 농약살포횟수 경감, 생산성 증대, 지역특화개발 전략 일환으로 충주사과 지리적 표시제를 추진 부가가치를 향상시켰으며, 중 소과 생산 및 소비자 직판에 따른 부가가치 향상을 꾀했다.● 사과산업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지원단 운영 경북사과특화사업단(단장 변재균 영남대 교수 외 14명)사과나무 낙과방지기술을 제공, 낙과율을 20~30%에서 5%이하로 경감했으며, 감홍사과의 고두병 방지용 칼슘 공급 및 기술지도, 병해충 방제횟수 경감 기술지원으로 기존 10회 이상에서 8회로 줄였다.공판장 개별형태의 유통방식을 인터넷판매로 유도, 군위 소보사과사랑작목반의 경우 전년대비 25%의 경제적 이익이 난 것으로 분석됐다. 홍보는 공휴일 사과사랑관 개방, 소비층을 확보했으며, 백화점 등의 홍보활동을 강화했으며, 과원관리시스템을 체계화해 합리적 과원경영을 유도했으며, 지속적인 자료, 정보 및 지도를 통한 농민의 지식기반을 구축해 나가도록 했다. 소포장 박스 상품화로 소규모 소비층 공략에 따른 소득향상을 이루어 나감은 물론 재배기술 지침서 등을 통해 체계적인 과원관리를 유도하므로 경영비 과다지출, 과실품질 저하요인 해결에 따른 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