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2007-02-12     원예산업신문
△시설채소=햇빛이 강한 낮에는 시설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철저히 해주고, 물은 오전 중에 주되 가급적 점적관수를 사용하도록 하여 과습으로 인한 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눈·비가 자주 오거나 구름 낀 날이 많을 때에는 햇빛이 부족하고 습도가 높아지므로 잿빛 곰팡이 병, 흰 가루병과 균핵병과 같은 병해 발생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환경 관리에 유의하고 예방 위주로 방제토록 한다.밤에는 변온 관리를 실시하여 난방비를 절감토록 하고, 풋고추, 오이, 토마토 등 열매 채소는 12℃ 이상, 배추, 상추 등 잎 채소는 8℃ 이상 되도록 관리해 준다.△고추=중부 지방의 고추 재배 농가에서는 씨뿌리기를 2월 하순까지 마치도록 하고, 종자는 30~32℃의 따뜻한 물에 하루 정도 담갔다가 28~30℃ 되는 곳에서 하루나 이틀 정도 놓아두게 되면 싹이 1~2㎜ 정도 나오는데 이때 씨를 뿌리는 것이 가장 좋다.씨 뿌린 후에는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는 모래로 덮은 다음 짚을 얇게 덮어주고,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하며, 환기창은 완전히 닫아 온도와 습도를 높게 유지하도로고 하여 준다(온도 25~30℃ 정도로 4~5일간).파종상은 야간에는 가온 및 보온을 잘하여 저온 장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낮에는 알맞은 환기를 실시하여 지나친 고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마늘·양파=논에 심은 마늘과 양파는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구를 잘 정비해 주고, 피복한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덮어 주는 것이 좋다.난지형 마늘과 중만생종 양파는 2월 하순에 웃거름을 주도록 하고, 웃거름 주는 양은 생육 상태에 따라 조절하여 과비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과수=‘신고’배는 -2℃에서 2일째에는 동결이 되므로 저장고내의 온도를 -1℃ 이하로 설정하도록 하고, 1~2일 정도 노출이 되어 동결될 경우에는 회복이 가능하므로 빠른 시일내에 출하하는 것이 좋다.그러나 ‘신고’배가 -2~-4℃에 3일 이상 경과하게 되면 동결 후에도 회복시 조직의 파괴가 일어나 회복이 불가능 하게 되므로 3일 이상 -2~-4℃ 온도에 노출 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 하도록 한다.저장용 ‘신고’배는 저장고내 이산화탄소의 축적을 막기 위해 환기창을 설치하거나 주기적으로 환기(1회/15일) 하여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축적을 피하여 저온 저장중 과심갈변과 발생을 억제시켜 주어야 한다.‘신고’배의 과심갈변과 피해를 막기 위하여 관행수확 및 관행수확기 이후에 저장된 배는 저장기간을 120일 이내로 저장하고, 조기 수확된 과실은 150일 이내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화훼=장미 삽목 육묘를 할 때 펄라이트 용토를 사용하게 되면 묘의 소질이 좋아지고, 아주 심은 후에는 생육과 수량이 많아지게 된다.트레이를 이용한 펄라이트 삽목 육묘는 암면 큐브에 비해서 육묘 비용을 62% 정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장미를 삽목 재배할 때는 봄에 하는 것이 좋으며 50공 트레이에 펄라이트 용토를 넣고 6㎝ 정도의 삽수를 한 개씩 심고, 2개월 정도 묘를 기른 후 아주 심도록 한다.수확 중인 카네이션 포장은 12~23℃의 온도로 관리하여 불량 꽃 발생을 줄여주고, 물을 줄 때는 알맞은 양을 일정하게 주도록 한다.여름철 출하 국화는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여 2월 하순경에 삽목 번식을 하도록 한다.국화의 삽수 채취는 오전에 실시하는 것이 좋고 오후에 채취한 삽수는 냉장고에 저장한 후 다음날 오전에 이용하도록 한다. △버섯=겨울철 느타리버섯 재배가 끝나가는 시기이므로 마지막 주기의 버섯이 수확을 완료하게 되면 재배사를 밀폐시킨 후 증기열 또는 포르말린 등으로 소독을 실시하여 병해충의 전염원이 차단되도록 한다.봄철 느타리버섯을 재배하고자 하는 농가는 중·저온성 우량 품종을 선택할수 있도록 종균은 미리 신청하여 확보하도록 하고, 볏짚이나 폐면 등의 배지는 오염되지 않고 품질이 좋은 신선한 것으로 선택하여 안전한 재배가 되도록 사전 준비에 철저히 하도록 한다. 영지버섯은 종균 접종 시기가 2월 하순부터 시작되므로 접종이 늦어지지 않도록 하고, 원목의 수분은 38~40% 내외로 선택하여 균기르기 작업을 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