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채소=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자재를 잘 덮어 보온력을 높이고 일사감응 변온장치, 지중 가온시설, 수막하우스 등 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시설을 점검 보완한다.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일찍 걷어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저녁에는 일찍 덮어주어 보온력을 높이도록 한다.눈이 많이 내릴 때는 시설 지붕 위에 눈이 쌓여 시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하우스 안이 습기가 높지 않도록 관리한다.오이·토마토·풋고추 등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또는 가온을 해 주도록 한다.겨울철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주도록 하고,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잘한다.△마늘·양파=마늘·양파와 같은 월동채소는 눈이나 비가 올 때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잘 정비해 준다.월동작물의 보온을 위하여 피복한 비닐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잘 덮어준다.△과수=조류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씌워 두었던 방조망은 적설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측면으로 걷어둔다.아직까지 월동대책을 세우지 못한 농가는 동해를 받기 쉬운 원줄기와 주지를 백색 페인트 또는 짚으로 싸서 보호한다.내한성이 약한 포도나무는 땅에 묻거나 싸매주며 어린나무, 세력이 약한 나무는 짚 등으로 땅에서부터 1m 정도 부위까지 싸맨 후 30㎝ 정도 흙으로 덮어서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과수의 낙엽, 포장의 잡초에는 병원균이나 해충 등이 월동하고 있으므로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주고, 병든 과실도 깨끗이 없애서 병해충의 월동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과실 저장 중에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이산화탄소 등 유해가스가 저장고 안에 차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해 주도록 한다.현재 저장 중인 과실을 수시로 살펴보아 썩는 과실은 골라내고 연약한 과실이 많을 경우에는 빨리 출하토록 한다.△화훼=시설 화훼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하우스 보온관리에 힘쓰도록 한다.시설화훼 재배에 있어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하면 꽃의 종류에 따라 생육이 정지되거나 불량 꽃이 발생되는 등 생리장해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알맞은 환경관리를 해 주도록 한다.꽃노랑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등 외래해충은 농약에 대한 내성이 크기 때문에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가며 뿌려 방제하도록 한다.△느타리버섯 재배관리=겨울철 느타리버섯 재배는 밤과 낮의 온도차가 많이 나므로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가 저온기 품종에 알맞은 10~16℃ 정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와 아울러 단열시설을 보완하여 주도록 한다.또한 균상이 마르지 않고 85%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항상 유입되도록 관리한다.버섯 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잘하여 세균성갈변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