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학교급식 어떻게? ②
2006-11-09 원예산업신문
▲산지유통센터의 소독= 물청소시 살수를 통해 바닥과 기타 시설에 대한 청소를 철저하게 실시해야 한다. 이때 작업인부에 대한 청결 유지를 통해 유해균의 발병이전에 예방을 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를 위한 기적인 소독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우수농산물 생산관리 (GAP) 체계 준수=우수농산물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자 및 관리자가 지켜야 하는 생산 및 취급 과정에서의 위해요소 차단 규범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환경에 대한 위해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재배, 수확, 수확후 처리, 저장 과정중의 농약·비료·중금속·미생물 등에 대한 위해요소 및 생산이력관리에 관한 종합적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농산물의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생산단계부터 최종소비단계까지 관리 체계에 있어 생산단계관리가 GAP의 핵심사항이다. 이력추적관리(Traceability)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 가공, 유통 등 전과정에서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데, 이와 같은 모든 생산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정보화함으로써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역추적’을 가능케 함으로써 생산자에게 각 생산단계별 식품안전에 대한 책임성을 부여하며, 소비자들로부터 생산물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일본 수출농산물에 대한 일본 유통업체의 생산이력정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본격 논의되기 시작하여 축산물, 가금류 등의 안전성 문제 발생으로 도입 논의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GAP의 도입 필요성=각종 화학약제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위해물질 등의 위험 요인을 차단하고, 증산 및 다수확 중심의 생산시스템에서 벗어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자 추진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적이면서도 동시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농식품 생산 공급체계가 요망되고 있어, 소 광우병, 돼지 구제역, 조류 독감 등 동물성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대폭 증가하면서 소비자의 식품소비패턴이 단기간에 급변하고 있다. 안전농산물과 웰빙 열풍으로 식물성 농식품에서의 건강기능성, 고품질, 안전성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기도 하다. 산지유통센터 GAP 확립을 위해서는 잠재적 오염원을 파악하고,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이외에도 토양, 관개수, 동물 배설물, 미숙퇴비, 가축 및 야생동물, 작업자의 비위생, 수확장비, 운반용기, 세척수, 비위생적인 취급, 저장고, 수송차량 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