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관측 / 표고버섯

2006-09-26     원예산업신문

   
  ▲ 표고버섯 요리방법  
 
■재배동향과 전망△금년 여름버섯 생산량은 작년보다 감소=재배자의 35.4%가 여름 표고버섯(6~8월)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생산량은 작년보다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도 대체로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름 표고버섯 생산이 감소한 것은 장마이후 고온·건조한 날씨가 지속되어 버섯의 발생과 생육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여름 이상고온에 대응하는 대비책 필요=금년 여름철 고온 현상은 유난히 오래 지속되어 산간지방 재배나 톱밥재배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름철 이상 고온 현상이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재배사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우스를 개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신규접종 골목의 해균 발생률은 낮아=신규 접종한 표고버섯 골목에서 해균이 발생한 것은 25.4%로 조사되었으나 발생정도는 예년보다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한 병해충은 주로 고무버섯과 주홍꼬리, 푸른곰팡이 순이었다. 한편, 상반기에는 양호하였던 표고골목에서 장마와 더운 시기를 지나면서 뒤늦게 피해가 나타나는 지역도 있다. △8월 생표고 생산은 작년 동기보다 크게 감소=8월 표고버섯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며, 품질도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온·건조 현상이 지속되어 버섯의 발생과 생육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 △9월 하순과 10월의 표고버섯 생산은 증가 전망=8월에 버섯발생이 부진하였기 때문에 가을에는 버섯 발생량이 증가할 것이므로 가을철 버섯 출하량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출하물량이 급증하지 않도록 시기를 분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품질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수출입 동향 및 전망△9월 상순의 생표고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높아=9월 상순 생표고 중품의 평균 도매가격은 4kg당 16,716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5.7% 상승하였다. 여름에 고온·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버섯 발생이 부진하여 시장 반입량도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8월 생표고 가격은 작년보다 높아=8월 생표고 중품의 평균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18.3% 높게 형성되었다. 이는 고온·건조한 날씨가 지속되어 표고버섯의 시장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건표고 가격은 작년과 비슷=9월초 건표고 동고(상품)의 생산지 가격은 28,000원/kg으로 작년 동기와 비교하여 3.7% 높게 형성되었다. △10월 생표고 가격은 부진할 전망=10월 생표고 가격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에 감소하였던 버섯 발생이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발생이 증가해 시장 출하도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가격동향 및 전망△8월의 조제표고 수입량은 작년보다 감소=8월의 조제표고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73% 감소하였다. 그러나 1~8월 수입량 누계치는 작년 동기보다 23.5% 증가하였다. 8월의 건표고 수입은 155톤으로 작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1~8월 수입량 누계치는 작년 동기보다 8% 감소하였다. 중국산 생표고는 8월에 4톤이 수입되어 일부 재래시장으로 반입되었으나 판매량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표고의 수출 감소 지속=7월 건표고 수출은 9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45% 감소하였고 1~7월 수출량 누계치는 작년 동기보다 45.5% 감소하였다. △생표고 수입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중국의 표고버섯 생산량도 감소하였고,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중국 내수의 표고버섯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중국산 생표고의 수입은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소비 및 구매형태 조사결과■이 조사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전국 주요 도시의 516가구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것을 분석한 것이다. △표고버섯 소비는 소득수준에 따라 증가=표고버섯 소비 빈도를 가구의 소득수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200만원 이하는 1년에 3~4회가 가장 많고, 200~299만원대는 한 달에 한번이, 300~399만원대는 2주일에 한번이, 400만원 이상은 1주일에 한번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소득수준이 높으면 표고버섯의 소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고버섯 요리는 대부분 볶음과 찌개=가정에서 표고버섯은 대부분 볶음과 찌개용으로 이용되며, 전골과 버섯전으로 먹는 경우도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 먹는 경우는 거의 없어 요리방법이 매우 제한적임을 보여 준다.△표고버섯 구입은 대형마트와 재래시장=소비자들이 표고버섯을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마트(44.8%)와 재래시장(31.8%)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인근슈퍼(6.8%), 백화점(5.4%), 도매시장(3.7%), 기타(7.8%)로 나타났다. △표고버섯을 좋아하는 연령과 싫어하는 연령=가족 가운데 표고버섯을 좋아하는 연령대는 주로 30대와 40대로 조사되었다. 젊거나 나이가 들수록 덜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연령층에서 표고버섯에 대한 선호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가족 가운데 표고버섯을 싫어하는 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