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감가격 대형유통 결정 산지의욕 저하

품질 좋아도 10㎏당 12만원 이하 결정

2014-01-13     원예산업신문

곶감가격이 이전에는 주산지인 상주 지역에서 정해졌으나 재래시장 판매가 저조해지면서 최근 대형유통업체가 가격을 결정, 산지의 곶감 생산의욕이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떫은감 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 늘고 있는 반면 곶감가공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생과가격 폭락이 전망되고 있어 떫은감을 생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가공관련 연구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김운용 상주원예농협 조합장은 “이전에는 곶감가격을 산지에서 결정했으나 주요 판매처인 재래시장이 다 무너지면서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가 가격결정을 하고 있다”며 “품질이 좋으면 높은 값을 쳐줘야 하나 아무리 품질이 좋아도 대형유통업체들은 10kg 한 상자당 12만원 이하만 쳐주고 있어 수수료, 운송비를 제외하면 산지에서는 11만원에 거래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조합장은 “인건비, 원료값 등 생산비는 매년 상승하고 있으나 대형유통업체는 가격 상한선을 설정하고 있어 원가도 건지지 못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곶감 생산량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조합장은 “곶감 생산이 줄면 떫은맛이 나는 생감은 갈 곳이 없어 앞으로 풍년이 되면 생감가격 대란이 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곶감 농가의 영세성과 가공 특성상 산지규모화는 힘든 상황이다.
김 조합장은 “곶감 이외 여러 방면으로 가공을 연구했으나 소비자에게 판매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떫은감의 떫은 맛을 제거하고 생과로 먹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떫은감 농가가 살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김 조합장은 또한 “연구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조합이나 지자체에서는 감당하기 힘들어 범정부차원에서 생과를 섭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개발된 기술은 조합에 기술이전을 해 현지에서 전국적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경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