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삼 프로젝트 적극 대응해야
중국정부 자국인삼 발전 위해 제도개선·기술개발 확대
중국 정부가 자국 인삼산업 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프로젝트들이 한국 인삼의 중국 수출 및 고급화 전략에 위협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한국 인삼산업은 한류마케팅과 함께 유통, 종자 등에서 적극적인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의 인삼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세계 1위이지만 중국산 인삼은 기술, 품질 등의 이유로 시계시장에서 저가형 인삼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9년 기준으로 중국은 세계 인삼의 55.9%를 생산하고 생산량은 44,749톤이지만 농약잔류량 문제 등 국제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해 뿌리삼 수출 시장에서 캐나다(30.2%), 한국(22.9%), 미국(16. 8%)에 이어 15.9%의 점유율에 불과하다.
중국은 인삼산업의 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차원의 제도 개선과 기술 개발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인삼 주산지인 지린성은 중국 인삼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 연구, 생산·가공·유통·판매 등 모든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백산(백두산) 인삼야생자원복원공정’의 일환으로 장백산 일대에 인삼종자 9톤을 살포하고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전 세계 92개국에 ‘창바이산(장백산) 인삼’ 상표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중국 인삼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차원의 프로젝트들은 한국 인삼의 중국 수출 및 고급화 전략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자국 인삼 가공제품 제조기술이 일정기준 이상 도달할 때까지 한국산 인삼 가공제품 수입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 한국인삼공사가 중국내 가공공장을 완공했지만 가공사업 승인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농협경제연구소는 한국 인삼의 효능과 우수성에 대한 홍보, 국내산 인삼의 중국내 수요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 강화 등 적극적인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수출 확대를 위한 한류마케팅 및 수출공동브랜드 구축 등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중국 시장에서 한국 인삼 제품과 유사한 포장으로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유사제품들이 범람하고 있어 한국 인삼의 중국내 유통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인삼 종자의 불법 유출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철저한 관리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김진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