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2013-10-14 원예산업신문
무름병, 노균병, 균핵병 등과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진딧물, 담배나방,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등을 철저히 방제한다.
중북부 지방은 갑작스런 추위가 닥쳐올 경우 가을무 언 피해를 받는 온도는 0℃정도 이므로 이에 대비해서 부직포나 비닐을 미리 준비해 두었다가 기상 예보에 따라 덮어주어 얼지 않도록 관리한다.
△마늘·양파=한지형 마늘은 10월 하순까지 파종해야 하므로 적기 내에 파종하도록 하고 파종하기 전에 반드시 씨마늘을 소독하여 심도록 한다.
양파는 11월 상순까지 아주심기를 해야 하므로 좋은 모를 키울 수 있도록 병해충 방제, 물주기 등 묘상관리를 철저히 한다.
양파를 아주 심은 후에는 뿌리와 토양사이에 공간이 생기므로 물을 주지 않으면 뿌리가 건조하여 말라죽거나 뿌리가 잘 뻗지 않아 활착이 되는데 시작이 오래 걸리므로, 정식이후에는 관수시설이나 스프링클러 등 을 이용하여 물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시설채소=비닐온실을 지을때는 단동하우스의 경우 동서 길이로 설치해야 겨울재배에 효과적이고, 연동일 경우에는 남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곡부의 그늘을 적게 할 수 있어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온실에서 재배중인 오이, 호박 등은 일조가 부족하면 착과불량, 기형과 발생, 수량감소, 병해 등이 나타나므로 광환경 개선을 위해 정식밀도 조절, 반사판 설치, 잎 따주기, 일사량에 따른 변온관리, 병해충 적기방제 실시한다.
온실내의 온도관리는 동화작용이 왕성한 오전 중에 온도를 약간 높게 유지하여 동화작용을 촉진하고, 밤에는 동화 양분의 전류 및 호흡에 의한 양분소모를 최대한 억제시켜 생육을 건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가을전정에 의한 배나무 측지양성=배나무의 오래된 측지에 결실된 과일은 품질이 떨어지므로 젊은 측지로 갱신하기 위해 묵은 측지를 절단하여 새로운 젊은 측지 양성한다.
톱 등으로 10월 상순경에 묵은 측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측지 굵기의 1/2∼2/3 정도를 쐐기형태(∠)로 잘라두면 측지의 아래쪽에서 이듬해 새로운 신초 발생한다.
새로운 신초가 발생된 후 기존에 이용하던 측지는 2년 동안 착과시킬 수 있어 수량감소 없이 묵은 측지 갱신한다.
이듬해 묵은 측지 아래쪽에 발생된 신초는 기존 측지가 뻗어 있는 쪽으로 유인을 실시하여 새로운 측지로 양성한다.
△적기수확=사과 등은 수확시기에 따라 과일 품질이 좌우되므로 수확시기 결정은 매우 중요하고, 수확한 과일을 수확당일에 저장고에 바로 입고하는 것을 기준으로 필요한 작업인원 산출 및 수확량 계산한다.
바로 출하용은 유통기간 3∼5일 정도의 품질 변화만 고려하므로 착색도, 조직감(경도) 및 식미가 충분히 성숙되었을 때 수확하고, 지나치게 성숙되면 유통과정에서 급격히 품질 저하한다.
저장용은 장기간 품질변화를 고려해 조직감이나 풍미를 기준으로 삼기는 어려우므로 저장용 과일의 수확기 전분반응 지수 이용한다.
△가을거름주기=가을비료는 과일 수확 후 질소성분 위주로 주는 것으로 피로했던 가을 잎의 기능을 회복시켜 광합성 능력을 높이고 가을뿌리 발생을 촉진하여 수체내 저장양분이 충분히 축적되어 이듬해 순조로운 생육한다.
과일 수확 후 잎의 탄수화물 생산량은 9∼10월에도 1㎡당 4∼5g 정도로 5∼7월의 5∼7g과 비교해도 크게 떨어지지 않고, 가을에는 기온이 낮아 동화산물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유리하다.
가을에 주는 비료는 주간, 주지, 부주지 및 측지 등 비교적 굵은 가지에 축적한다.
△화훼=장미는 10월 달부터 해가 짧고 온도가 낮아지므로, 난방관리 및 보광에 유의. 꽃눈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퇴화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밤 동안의 최저온도가 18℃이상으로 관리하고, 해가 진 후 또는 보온커튼을 닫는 시간부터 보광을 시작하여 4시간 이상 해주어 장미의 블라인드(부적당한 환경에서 분화가 중단되고 영양생장으로 역전되는 현상)를 방지하고 일교차가 커짐에 따라 온실내 습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야간의 습도관리에 유의하며, 철저한 약제 방제한다.
시설 화훼류의 해충 방제는 백색이나 황색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여 예찰을 하고, 이들 해충이 발견되면 적용 약제를 3~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성분이 다른 약제로 바꾸어 가면서 살포한다.
△느타리버섯=느타리버섯은 밤과 낮의 기온 차이로 인한 버섯 생육의 장해와 병해 발생이 우려되므로 품종별로 버섯 발생에 알맞은 온도와 습도가 유지 될 수 있도록 주·야간 온도 차이를 줄여주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10월12일~10월17일)[기상청 발표(10월10일 06:00)]
기온은 중반까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후반에는 낮겠음.
강수량은 서울·경기도·강원도는 평년과 비슷, 충청이남지방은 적겠음.
※ 15일 오전 서울·경기도·강원도에 비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10월13일~10월19일)
(벼농사) 벼 적기 수확(조생종: 이삭 팬 후 50~52일, 중생종: 53~55일, 중만생종: 57~60일), 벼 말리기(일반용: 45~50℃, 종자용: 40℃이하)
(밭작물) 콩·고구마·가을감자 적기 수확, 보리·밀 적기 파종(평야지 산간부: 10. 10∼20일, 중간산지의 산간부: 10. 5∼15일, 평야부: 10. 10∼20일)
(채소) 가을배추·무 포장건조하지 않도록 관리, 진딧물·담배나방 등 철저 방제, 부직포·비닐 등 냉해대비 자제 확보, 한지형 마늘 적기 파종(10월 하순까지)·파종 전 소독, 양파 묘상관리 철저(11월 상순까지 아주심기)
(과수) 가을전정에 의한 배나무 측지 양성, 사과 적기 수확, 수확 후 질소성분 위주 가을거름 주기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