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UPOV대비 버섯산업 대응방안모색 심포지엄

2006-08-28     원예산업신문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에 따라 지난 2003년 느타리버섯이 품종등록된 이래 오는 2008년 표고등 6개 산림작물에 이어 2009년 산림분야 전품목으로 확대예정인 상황에서, 버섯산업의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지난 25일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정광수)에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UPOV와 관련된 국내외 품종보호·산림청책·버섯연구등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발표가 진행됐다. 국립종자관리소 최근진연구관은 ‘UPOV 주요 회원국가의 제도운영과 대응전략’ 발제를 통해 “품종보호제도 운영에 있어서 핵심은 효율성을 감안한 출원품종에 대한 심사체제”라며 “심사의 효율성은 국가간 경쟁력을 좌우하는 지표로서 심사방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하느냐는 제도의 초기단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라고 설명했다.이어 ‘UPOV에 대비한 산림정책 방향’을 발표한 산림청 산림자원팀 전범권팀장은 “산림분야의 경우 표고버섯에 피해발생이 우려되는 상황” 이라고 말하고 “일본 품종을 무단 복제 증식한 미등록 종균사용이 60% 이상 차지하고 있고, 현재 표고재배 경영비에서 종균 비용은 5% 수준이나 품종보호권을 가진 일본종균업체 등이 로열티 요구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데다, 국내 소송시 생산자가 승소한다고 하더라도 일본 등으로의 수출시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조합 등에서 16개 품종이 개발 공급중이나 일본은 약 100여종의 종균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도 상당량 보유중이어서 열악한 종균 공급실태도 심각하다”고 말했다. 전팀장은 “이에 산림청에서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에 근거조항을 마련하는등 법제도의 조직적 정비, 국립종자관리소가 재배시험을 위해 3개 지소를 운영하고 있는 것에 준해 재배시험지 시설 확보, 수종별 심사기준 작성, 품종보호제도 조직정착을 위한 홍보 및 권리보호 강화등을 추진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이어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영복 연구관은 ‘UPOV 협약을 대비한 버섯 연구 방향I’ 발제에서 국내 버섯 품종 개발의 어려움으로 주요 버섯의 복잡한 성 양식등 주요 버섯 품종육성의 문제점등을 지적하고, “향후 연구방향은 유전자원의 수집·보존·평가 강화, 유전체 분석과 유용 형질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해석, 한국 고육의 품종육성으로 품종보호등록”을 발표했다. 별도지원의 가칭 ‘산학연 품종개발연구단’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표고버섯을 중심으로 보다 심도있게 연구한 국립산림과학원 가강현 박사의 ‘UPOV 대비한 버섯 연구 방향Ⅱ’ 발표에서는 “우리나라는 2000년에 느타리, 2002년에 불로초(영지)를 시작으로 현재 느타리 10품종이 품종보호등록 된 상태인 반면, 일본은 2006년 8월 현재까지 14종 324 품종이 등록되어 있다”고 설명했다.또 “표고연구기관도 우리나라에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버섯연구소, 몇 개의 산림환경연구소, 소수의 대학등에서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무엇보다 “60여종 이상인 상업적인 버섯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려면 많은 연구인력의 양성과 이들이 연구할 수 있는 연구기관내 인력이 증원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산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