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2013-07-22     원예산업신문

△노지고추=침수가 되었거나 과습한 포장에서는 역병, 탄저병 등의 병해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총채벌레에 의한 바이러스와 기형과 발생 및 품질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용약제를 사용하여 방제토록 하고, 바이러스 이병주는 가능하면 빨리 제거한다.
장마가 끝난 후 날씨가 무더워지면 탄저병과 담배나방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엽면시비를 하여 수량을 높이도록 한다.
고추는 적기에(진홍색으로 되었을 때) 수확하여 다음에 달리는 고추의 자람을 좋게 해 주고, 적온에서 건조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고랭지배추·무=장마이후 온도가 높아지면 무름병 발생이 예상되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예방위주로 방제약제 살포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생육초기부터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엽면시비한다.
△장마이후 고온대비 시설채소 생육환경 관리=햇빛이 강하거나 온도가 높을 때 에는 환풍기를 가동하거나 차광망을 설치하여 고온 및 일사피해 예방한다.
생육이 부진한 작물은 요소 0.2%액(물20L에 40g) 또는 제4종복합비료 엽면살포한다.
예방 위주의 적용약제 살포로 병해충 적기방제한다.
△집중호우 대비 관리대책=사전대책은 고랑 및 배수로 사전정비로 장마기 습해 방지하고 지주설치 및 비닐끈 등을 이용하여 쓰러짐을 방지, 탄저병, 역병, 담배나방 등 예방위주 병해충 방제 실시한다.
사후대책은 이랑사이에 고인 물이 잘 빠지도록 고랑 및 배수로 정비 작업 실시하고 강우 후 잎에 묻은 흙·오물 등을 분무기나 호스 등을 이용 씻어준다. 보식이 필요한 포장은 예비묘를 이용 보식 및 대파 실시한다.
생육부진 포장은 요소 또는 제4종 복합비료 엽면시비로 생육촉진하고 도복된 작물은 빨리 일으켜 세우고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장은 북주기 실시한다.
△복숭아 착색관리 및 수확방법=복숭아 이중봉지는 벽돌색 겉봉지의 속은 검정색으로 햇볕이 전혀 투과되지 않는 봉지로 수확 1∼2주전 겉봉지를 벗기면 하얀색의 과피에서 붉은색으로 착색된다.
복숭아의 결과지 위치나 수관의 내외부 조건에 따라 숙도차가 크게 다르므로 수확 초기에는 2일마다 하고 최성기에는 매일 수확한다.
△장마대비 과원관리=여름철 장마기의 집중 강우로 관수해(冠水害) 외에도 침수에 의한 습해, 도복, 유실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하천 주변 과원은 침수피해에 의한 병 발생에 유의하고, 초생재배 과원은 습도가 높고, 통풍이 안 되면 병 발생이 증가되므로 예초작업이 필요하다.
△화훼=거베라는 수분에 민감하므로 여름철에는 하루에 1.0~1.2ℓ의 물을 주어 꽃목이 말라 시드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개화에 필요한 최소 엽수(큰 잎 30매 정도)를 유지한다.
심비디움은 고온 다습시 부패병과 고온건조시 응애, 30℃이상의 고온에서 꽃눈이 고사하므로 주의하며 장마 이후에는 높은 광도로 잎이 누렇게 되면서 타지 않도록 차광이 필요하다.
안개초는 6~7월에 흑반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 위주의 적용 약제를 살포하고, 온도가 30℃이상 계속되면 꽃잎이 많아져 꽃이 경단모양으로 커지는 기형화가 발생하므로 차광, 환기시켜 25℃ 이하가 되도록 관리한다.
카네이션은 고온이 계속되면 꽃잎이 안쪽으로 말리면서 말라죽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환기를 철저히 하고, 고온다습시에는 반점병, 고온 건조시에는 응애, 총채벌레 등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포인세티아를 11월 중하순경 출하할 경우 7~8월이 삽목시기이며, 삽수는 청결한 칼이나 가위를 이용하며, 발근 배지는 배수성이 좋고, 삽목후 즉시 미스트를 작동하여 수분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느타리버섯=느타리버섯의 연작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증기열 등을 이용 재배사를 소독하여 병해충 전염원의 서식처를 없애준다.
푸른곰팡이병은 재배사 주위에 병원균 밀도가 높고 폐면·볏짚내의 수분이 많거나 부족하여 이상발효가 되거나 습도조절이 적절치 못할 때 많이 발생되므로 배지의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약용작물=인삼밭이 과습하면 뿌리 적변, 뿌리 부패 및 조기낙엽 등이 발생하여 품질이 나빠지므로 해가림 시설을 보완하여 누수를 막고,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관리한다.
인삼 및 약초류에 병해충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로 적기에 방제토록 하되 반드시 적용약제를 선택하고,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한약재가 생산되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7월20일~7월25일) [기상청 발표(7월11일 06:00)]
기온은 중부지방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남부지방은 조금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4~15㎜)보다 조금 많겠음.
※ 장마전선 영향으로 24~25일 전국적으로 비,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으로 남부내륙은 낮기온 30℃이상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7월20일~7월25일)
(벼농사) 장마대응 흰잎마름병, 잎도열병, 벼멸구 등 병해충 관리 철저, 이삭거름 투여 및 물 걸러대기(3일 물대기, 2일 물 빼기) 실시
(밭작물) 콩의 잡초제거 및 중경·배토 실시, 노린재 방제, 20~25일경 이른 아침에 옥수수 수확, 감자역병 방제(고령지 여름재배 감자), 참깨 돌림병, 땅콩 갈색무늬병 등 병해충 방제
(채소) 고추 역병·탄저병, 총채벌레·담배나방 등 병해충 방제, 무 무름병 예방위주 약제 살포, 진딧물·배추좀나방 적기 방제
(과수) 복숭아 수확 1~2주전 겉봉지 제거, 초생재배 과원 잡초 제거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