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 흡수 나무 아시아 최초 기술확보

폐광지 정화비용 기존 절반수준

2013-07-22     원예산업신문

우리나라가 아시아 최초로 중금속을 흡수하는 포플러를 개발해 높아진 국내 산림과학기술의 위상을 입증했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은 포스텍(POSTECH)·㈜화이젠과 공동으로 중금속 무독화 신품종 포플러를 개발했고, 경북 봉화군 금오광산 0.6ha에 이를 시범 식재한 결과 중금속 흡수 능력과 나무의 생존율이 기존 일반 포플러 대비 25% 정도 높게 나타났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이 연구는 아시아 최초로 중금속을 흡수하는 신품종 포플러를 폐광지 토양에 실제 적용한 국내 첫 사례이며, 관련 기술은 세계적인 학술지 「Chemosphere」에 발표되는 등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에는 약 5,396개소의 광산이 있는데 약 56곳을 제외한 나머지 5,300여 개소가 폐광 상태에 있다. 여기서 나오는 중금속 및 산성배수 등은 주변 생태계에 위협적이다.
현재 이런 문제를 방지하고자, 댐을 만든 다음 필름으로 오염토양을 둘러싸서 봉하는 방법, 식물 정화(Phytoremediation)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식물 정화방법은 식물을 이용해 환경오염원을 가두거나 독성을 없애는 친환경적 기술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2007년 신품종 포플러를 금오광산에 식재한 후 6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뿌리와 줄기에서 신품종 포플러와 일반 포플러의 중금속 축적량을 분석한 결과 카드뮴(Cd)은, 일반 포플러는 116㎍이나 신품종 포플러는 약 167㎍을 흡수하였으며(약 1.4배 효과) 비소(As)는 일반 포플러는 1,485㎍이나 신품종 포플러는 2,841㎍(약 1.8배 효과)을 흡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실 수준에서는 총 5배 정도 많은 중금속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최영임 박사는 “나무를 활용한 정화는 유독한 폐광지의 토양오염 수준을 낮추는 것과 더불어 낙엽 등의 유기물을 공급해 식생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도 있다”며 “토양오염 실태에 따른 맞춤형 신품종이 개발된다면 폐광지뿐 아니라 쓰레기매립지 등의 토양오염 정화에도 폭 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