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농식품산업 노동중심에서 기술혁신중심 발전 모델 전환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8일 과학기술과 농업의 융합을 통해 농업분야에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농림식품 과학기술 육성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10년간 농림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연평균 3%씩 높이고 수출 150억불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정과제 및 농정목표를 반영하여 농식품 산업정책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농림식품 R&D 예산의 양적인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민간 R&D 투자는 저조하였고, 소액·다건의 백화점식 투자로 핵심기술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부족하고 농림식품 과학기술 수준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나, 사업화율이 낮아 경제성장에 대한 실질 기여도가 낮았다.
이 계획에 따라 정부는 농림식품산업을 기존의 노동 중심 모델에서 기술혁신 중심의 발전모델로 전환하기 위해 농식품부 예산구조를 기술투자 중심 구조로 전환해 나가게 된다.
농식품부 전체 예산에서 R&D가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 5%에서 2022년까지 10%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확대된 예산은 창조경제, 국민행복 등 국정과제·농정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4대 중점 연구분야에 50대 핵심기술을 선정하여 집중 투자해 나갈 계획이다. 50대 핵심기술은 국민과 산업현장이 요구하는 시급한 핵심 현안을 해결하고 농정목표를 달이들 핵심기술은 3~5년짜리 과제로 추진될 예정이며, 성과평가와 환경변화 요인을 고려하여 재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농림식품 R&D가 최적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간, 중앙-지방 R&D 기관 간 정책 조정·통합, 공동기획, 기능배분 등을 통해 ‘협업과 상생의 시스템’을 구축한다.
농업과 ICT·BT간 융합 촉진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 공동기획 기술협력 특별위원회’에 적극 참여하고, 농촌진흥청, 농림축산검역본부, 산림과학원 및 ICT·BT 전문연구기관인 생명공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과의 협력연구도 강화할 계획이다.
지역 R&D 활성화를 통해 지역특화 산업·품목의 6차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도 적극 지원하게 된다.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해 민간 R&D 역량을 확충하는 한편, R&D가 경제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사업화단계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연승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