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에너지 절감위해 올해 2690억원 지원

밭농사 농기계 임대 400개소 확대 … 권역별 농자재유통센터 설립

2013-05-13     원예산업신문

밭농사용 농기계 임대소가 400개로 늘어나고 권역별 농자재유통센터가 설립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가 경영비 부담을 줄이고 농자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농자재산업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최근 유류, 비료·농약 원재료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농자재 비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농가의 경영부담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농자재관련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T/F팀을 구성해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등 분야별 현황·문제점을 분석해 ‘농자재산업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농자재산업 종합대책은 농기계 이용 효율화, 비료·농약·에너지 사용량 절감, 농자재 유통구조 개선 등 농가 경영안정을 위한 농자재 비용 절감방안에 중심을 두고 있다. 아울러 농자재 R&D 지원 확대, 해외 진출 지원, 수입대체 확대 등 농업의 후방연관산업인 농자재산업 강화방안도 포함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농기계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해 농기계 구입비용 및 일손부담 경감을 위해 시·군의 밭농사 농기계 임대사업소를 ‘16년까지 400개소, 논농사용 농기계은행은 ‘17년까지 80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간 농기계 공동이용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용시기가 다른 원거리 지역간은 공동이용 협약을 체결,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일괄 농작업을 추진하고 근거리(인접 시·군) 지역간은 농기계 공동이용 풀(Pool)시스템을 도입한다.
또한 농촌의 일손부담을 줄이며 농기계 조작이 어려운 고령·장애인·영세농 등의 영농활동을 돕기 위해 맞춤형 농작업 대행서비스도 2014년 시범 도입 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전국 시군에 농기계 임대 콜센터를 운영하고, 2014년 이후부터는 인터넷·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농기계 임대 예약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비료·농약·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해 유기질비료 지원을 통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작물의 상태에 따른 정밀처방(농약사용종합시스템)으로 적정농약 사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다.
시설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올해 2,690억원을 지원해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절감시설 확대, 신축온실 신규지원 및 기존온실 개보수 등을 추진한다.
농자재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2015년까지 3개 권역(중부·호남·영남)에 ’농자재유통센터‘를 설립하고, 시군단위에는 One-stop 서비스가 가능한 ’농자재 전문스토어(자재센터)‘를 설치해 농자재유통센터-농자재전문스토어를 연결하는 유통망을 구축,복잡한 농자재 유통구조를 단순화하고 물류비용을 절감하여 농자재 가격인하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농자재 전문스토어(자재센터)에 농작물 생육 및 농약·비료·농자재 관련 전문 컨설턴트를 배치하여, 농작물 생육진단부터 처방 구입까지 일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공정거래 확립을 위해 농자재 업체의 담합행위 등을 예방하기 위해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집단소송제 등을 도입(공정위 주관)하고 품질기준을 강화하여 불량자재의 유통을 방지할 계획이다.
농자재 산업지원을 위해 경쟁력을 키우고, 고효율·친환경·수출전략형 농자재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농자재 관련 R&D를 ‘17년까지 1,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농자재산업의 해외진출도 지원한다. 우선 충남 천안에 농기계 종합유통지원센터를 설립해 중고농기계의 수출을 촉진하고 ‘농자재 수출전략협의회’를 구성·운영해 농자재 산업의 해외진출을 측면 지원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ODA(개발협력사업)와의 연계를 통한 동반진출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연승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