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배수구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하고, 호우로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장은 북주기를 해 주며, 쓰러진 포기는 가능한 빨리 일으켜 세운다.토양에 습기가 많으면 뿌리의 기능이 약해져 수분과 양분의 흡수력이 떨어지므로 요소 0.2%액을 잎에 뿌려 주어 생육을 촉진시키도록 한다.고추 역병, 탄저병, 반점세균병, 담배나방 등을 중점 방제하고 집중호우나 병해충으로 떨어진 열매나 잎은 땅에 묻어 병원균의 전염원을 제거토록 한다.붉은 고추는 가능한 빨리 수확하여 다음에 달리는 열매의 자람을 촉진시키도록 한다.수확한 고추는 가능한 씻어 말리기로 깨끗한 국내산 건고추의 소비자 인식을 높여 수입산과의 차별화를 유도한다.△무·배추=잦은 비나 폭풍우에 대비하여 배수구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고 잎에 묻은 오물은 분무기나 호스를 이용하여 씻어 주도록 한다.폭우로 잎에 상처가 난 경우에는 비가 그치는 대로 살균제를 뿌려 병원균 침입을 예방토록 한다.겉흙을 긁어 주어 토양 중 공기유통이 잘 되도록 하고,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을 잎에 뿌려서 생육을 촉진시켜 주도록 한다. 수확기가 된 무·배추는 제때에 수확하여 출하한다.△수박·참외·오이·호박 등=과습한 포장은 배수로를 정비하고 비료가 유실된 포장은 질소와 칼리를 함께 주어 세력을 유지해 주도록 한다.오이나 호박 등 지주를 설치하여 재배하는 작물이 쓰러진 경우에는 즉시 일으켜 세우고 덩굴 간격을 알맞게 유지토록 관리한다.역병, 탄저병, 덩굴마름병이 발생된 식물체는 빨리 제거하고 적용약제를 살포토록 한다.△시설 하우스=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주고, 침수로 비닐과 피해가 경미한 기자재에 묻은 흙앙금이나 오물은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씻어주도록 한다.가을 재배용 작물은 별도로 육묘상을 설치하여 병원균의 감염을 예방하여 안전하게 육묘하고, 양액재배 시설이 물에 잠겼을 경우에는 베드나 기자재를 깨끗이 청소하고 반드시 소독을 실시한 다음에 작물을 재배토록 한다.△과수원 관리=배수로를 정비하고 토양을 피복하여 토양유실을 방지하며, 과실이 커짐에 따라 늘어지는 가지는 받침대로 받쳐준다. 왕성하게 웃자란 가지는 나무 안쪽에 그늘을 만들어 꽃눈 발달을 저해하고, 병해충 발생을 조장하게 되므로 재생하지 못하도록 가지 발생 기부에서 잘라 주도록 한다.사과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반점낙엽병, 복숭아세균성구멍병, 포도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과실, 잎, 새 가지 등을 잘 살펴보고 병반이 보이기 시작하면 적 약제를 충분히 뿌려 주도록 한다. 조류 피해가 우려되는 과원에는 방조망을 설치하여 새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과실 수확=자두, 복숭아 등은 서늘할 때 익은 과실만 따도록 하고 복숭아는 눌리거나 부딪치면 과실이 쉽게 물러지므로 취급에 주의한다.비가 오는 도중이나 비를 맞은 직후에 과실을 수확하게 되면 당도가 낮아져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비가 그친 후 2~3일 지난 다음 수확 하도록 한다.수확한 과실은 서늘한 곳에서 규격별로 선별한 뒤 포장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출하한다.△화훼=장미는 집중호우로 물에 잠긴 화훼류는 신속하게 물을 빼 주고 잎이나 줄기에 묻은 흙 앙금은 씻어준다. 쓰러진 나무는 세워 주고 부러진 가지는 제거한 후에 적용 살균제를 살포하여 병원균 침입을 막아 주고 새잎이 나오기 시작하면 영양제를 잎에 뿌려 주어 생육을 촉진시킨다.△버섯=호우로 침수되었던 버섯 재배사는 배수로를 정비하고 빠른 시간 내에 청소와 소독을 하고 영지버섯 원목은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2차 버섯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가을철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려는 농가는 종균과 볏짚, 폐면 등 자재를 미리 준비하고 재배사는 소독을 하여 병해충의 전염원을 차단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