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별 전국조직 강화 필요

직불금 및 계약재배 확대해야

2013-02-25     원예산업신문

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품목별 전국조직을 강화해 품목별 조직에서 수급을 책임지고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9일 김선동 의원실 주관으로 열린 농산물 가격정책 진단과 개선방향 토론회에서 전영남 서남부채소농협 조합장이 이같이 주장했다.
전영남 조합장은 토론자로 참석해 “농산물 수급조절을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품목별 조직에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농산물이 과잉 됐을 경우 농가에 직접지불하고 가격은 시장에 맡기고 저장가능 품목은 수매해서 저장하고, 저장이 불가능한 품목은 가공해서 저장하는 시스템이 구축돼 부족할 경우 품목조직과 정부가 협의해 최소한 물량만 수입해 물가안정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곽길성 진도 대파작목반 대표가 주제발표를 맡았다. 곽길성 대표는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농가소득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직불금을 늘리고, 농협과 산지유통법인의 계약재배를 50%까지 확대해 수급조절에 있어 실질적 역할을 하고 시장교섭력을 키워야 한다”고 발표했다.
토론에서 김성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작목별 특성에 따른 정책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며 “재배기간이 2~3주 밖에 되지 않는 상추, 깻잎은 시장에 맡기고, 양파·마늘·고추 등 1년간 재배하는 양념류에 대해서는 가정에서는 국내산을 선호하고 외식업체에서는 수입산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중적인 시장구조에 맞춰 유통정책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성우 부연구위원은 “마늘, 고추 등은 재배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자급률이 낮아져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입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며 “기계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한 시설 확대, 품종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승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