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 농업기술로 막을 수 있다

기상관측 정밀도 높이면 기술적 대응도 가능

2012-08-27     원예산업신문

기후변화가 장기적 대책에만 집중되고 있어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들이 집중되면서 농업계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최근 몇 년간 발생하는 기상이변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대응책이 없어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다.
2010년 일조량 부족으로 경남과 충남지역의 시설하우스 작물들이 피해를 입었고 그해 동해로 인한 복숭아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6월말부터 9월초까지 계속 비가 내려 사과와 배 수확량이 감소했고 지난겨울에는 한파로 인해 시설하우스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농업기상재해 복구비를 보면 2008년 가뭄으로 756억원, 2009년은 호우와 강풍, 돌풍 피해로 804억원, 2010년에는 일조량 부족 291억원, 동해 323억원이 재해복구비로 지급됐다. 특히 2010년과 2005년은 호우로 인한 재해복구비가 각각 5,321억원, 5,816억원이 지급돼 최근 10년간 가장 큰 피해를 내기도 했다.
정부는 장기적 관점에서 한반도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영향과 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기상이변에 대해서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농촌진흥청 김진호 박사는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환경부 등 범정부적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기후변화는 앞으로 10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 트랜드이고 기상이변은 단기적 트랜드이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신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만들어 2020-2050-2100년까지의 한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예측해 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농업분야는 농촌진흥청에서 수행 중에 있다.
장기적 대책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연구분야도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적지, 아열대작물  도입, 내재해성 품종 개발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농진청 기후온난화대응연구센터 관계자는 “농진청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과수재배지 변동, 동해피해 위험지대, 아열대작물 품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1~2015년까지 연구용역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와 함께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기상예측이 필요하다.
김진호 박사는 “자연재해를 인재로 완벽히 막을 수는 없지만 농업기술로 대비할 수 있다”며 “기상청의 단기·중기 기상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면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 피해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향후 기상관측망 확대와 농업과의 연계성을 높여 기상이변에 대한 대처를 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농작물 피해에 대한 보상체계인 재해보험 확대 등도 같이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승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