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수출양액기술재배시범사업 선정
지리산춘향골화훼연합회, “양액재배로 수출 활로 되찾을 듯”
2012-07-09 원예산업신문
양액재배는 무균성토에서 백합을 키우기 때문에 연작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병이 생기더라도 양액을 다시 갈아주고 재배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무엇보다 규격재배가 가능하다는 점이 농가들 사이에서 큰 장점으로 손꼽힌다. 재배에 필요한 성분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고른 품질과 일정한 기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백합은 생산비 절반가량이 구근비로 쓰인다. 정부에서 보조해 주던 구근 구입비가 지난 5년 전부터 없어지는 등 경영비 상승으로 인해 지리산춘향골화훼연합회 백합농가는 그 사이 40% 가까이 수가 줄어들었다. 따라서 이번 양액재배를 시작으로 차차 백합재배 농가수와 규모를 예전 이상으로 늘려가겠다는 입장이다.
이유선 회장은 “올해 시범재배를 통해 남원시청의 평가를 받은 후 성공여부에 따라 경작면적을 넓혀 갈 것이다"며 “운봉은 해발 500여 미터의 준고랭지로 같은 높이의 강원도 지역 대비 날씨가 따뜻하므로 11월까지 백합이 생산되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지리적 장점과 양액재배 효과를 최대한 활용해 백합수출을 늘려가겠다는 것이다.
/정의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