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P 인증농가 확대위한 제도 발굴
GAP전문가 포럼 발족
전국 단위 GAP 전문가포럼이 지난 14일 발족했다. GAP전문가포럼은 2015년까지 GAP(농산물우수관리)인증 재배면적 비율을 10% 수준(12만농가, 17만ha)으로 높이기 위해 획기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발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GAP(농산물우수관리제도)는 재배환경에서부터 생산, 수확 후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농약,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등의 다양한 위해요소를 적절히 관리하는 농산물을 인증하는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제도이다.
GAP 제도가 2006년 도입된 이래 현재 37천 농가, 5만ha가 참여하고 있으나 현재 수준으로는 2015년까지 GAP인증면적 비율 10%까지 확대하겠다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정부, 유관기관, 생산자단체, 학계 전문가들로 전문가포럼을 구성해 다양한 시각에서 기존의 GAP 제도 및 정책방향을 점검하고 GAP 확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GAP 확대의 걸림돌인 인증농가와 GAP시설의 접근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규모 GAP시설 모형 보급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에도 총력을 다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포럼이 제도 개선방안들을 발굴해 GAP인증이 활성화되고 국내 농산물의 안전수준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GAP전문가포럼 위원 명단이다. ▲김승환 농식품부 안전위생과장, 이규성 농촌진흥청 연구운영과장, 이영구 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장, 권만회 농협중앙회 회원경제지원부장, 김봉락 농협중앙회 식품안전연구원장, 김병삼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단장, 정덕화 GAP연합회 회장, 유병선 GAP 생산자협의회장, 남기응 한경대 교수, 김성훈 충남대 교수, 강동현 서울대 교수 등 1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