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2006-06-28     원예산업신문
△고추=장마가 시작되었으므로 고추밭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고랑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고, 병해충은 예찰정보에 따라 역병, 탄저병, 진딧물 등을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뿌리되 전착제를 첨가해서 뿌리면 효과적이다.고추 웃거름은 장마가 끝나면 세력을 보아가면서 10a당 요소 6㎏(유안 14㎏), 염화칼리 또는 황산칼리 5㎏을 주도록 한다.△마늘·양파=한지형 마늘은 토양이 습하지 않을 때 맑은 날을 택하여 수확한 후 2~3일간 밭에서 말리도록 한다. 마늘을 모래나 시멘트 위에서 말리게 되면 마늘통이 벌어지게 되므로 주의한다.마늘·양파는 수확 후 곧바로 출하하지 않을 때에는 그물망 저장 등으로 출하시기를 분산시키도록 한다.△수박, 참외 등=수박은 세력이 너무 강하게 자라면 열매가 잘 열리지 않게 되므로 웃거름은 초세를 보아 가며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한다.오이, 수박, 참외 등 열매채소는 덩굴마름병, 탄저병, 역병 등이 발생하기 쉬우니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고 배수로를 잘 정비해서 습해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고랭지 무·배추=고랭지 무·배추는 출하량에 따라 가격의 진폭이 크므로 지역별로 알맞은 면적이 재배 될 수 있도록 분산하여 파종하되 건전한 모기르기, 높은 이랑재배 등으로 안전한 재배가 되도록 한다.지난해 배추 무사마귀병이 발생한 포장은 토양훈증소독을 하거나 아주심기 전에 적용약제를 토양혼화처리하고 석회시용, 농기계 소독 등을 실시하여 병원균이 다른 포장으로 전염되지 않도록 한다.고랭지채소 재배에도 농약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지켜서 안전한 채소류 생산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받도록 한다.△장마철 과수원 관리=침수가 되지 않도록 배수로에 있는 풀과 흙 등을 제거하고 붕괴 위험이 있는 배수로는 튼튼히 정비하여 준다.토양유실이 우려되는 과수원에서는 비닐, 부직포 등을 덮어 주도록 한다.과실이 커짐에 따라 가지가 늘어지는 나무는 받침대를 세우고 시설재배 중인 포도, 배 등은 원줄기나 가지 등을 단단히 묶어주도록 한다.비가 그친 틈을 이용하여 병해충 방제약제를 살포하되 나무 전체에 골고루 묻도록 충분한 양을 뿌려주도록 한다.△배나무 역병 방제=배나무 역병의 증상은 새 가지의 윗부분부터 흑갈색으로 변하고, 잎은 부정형 흑갈색 병반을 형성한 후 말라죽으며, 원줄기는 지표면에서 위쪽으로 껍질이 흑색으로 변색되면서 줄기가 약간 갈라지는 증세를 보인다.역병 균은 빗물, 비바람 등에 의해 다른 포장으로 전파되며, 장마철에 급격히 확산되므로 과원에 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고 병든 가지나 잎은 발생 초기에 제거하여 태워 없애도록 한다.△화훼=비가 오고 흐린 날이 많아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하는 화훼류는 햇빛이 부족하게 되어 웃자라게 되므로 새로 심는 꽃은 포기사이 간격을 충분히 유지시켜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9월에 출하할 국화는 꽃눈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저녁 6시부터 아침 7시까지 해가림을 해주도록 한다.절화재배를 하는 하우스는 환기관리를 철저히 하여 고온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글라디올러스를 억제재배 하려는 농가는 우량 종구를 골라서 아주심기를 한다. △버섯=여름철 느타리버섯 재배사는 버섯이 발생할 때는 18~25℃ 정도의 온도와 90%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재배사 환경을 조절하여 주고, 균상에 버섯이 발생되지 않을 시기에는 세균성갈변병을 예방하도록 한다.고온이 지속되면 버섯파리 발생이 많아지므로 재배사 밖에는 살충제를 주기적으로 뿌리고, 환기창 방충망 설치와 재배사 통로 또는 출입문 앞에 유살등을 설치하여 버섯파리 유충의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