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활동 귀촌인 참여 확대해야”

귀촌-지역공동체 정책 연계 세미나 개최

2012-06-11     원예산업신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달 31일 경북 청도군 경북근로자복지연수원에서 지역발전위원회와 공동으로 농어촌 활성화를 위한 귀촌-지역공동체 정책 연계 2차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은 개회식에서 이번 세미나가 귀농·귀촌이 농어촌 지역공동체의 활력을 높이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이바지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논의하는 유익한 자리가 되길 당부했다.
이날 성주인 연구위원은 ‘귀촌과 지역공동체 정책 연계 방안’이란 주제발표에서 귀촌과 지역공동체 간의 연계 필요성을 강조하며 각종 활동을 소개했다. 문화프로그램으로 옥천 배바우작은도서관, 금산군 추부문화의집, 진안군 학선리 마을박물관, 교육공동체로 완주군 이웃린, 평생학습 학선리 행복노인학교, 보건의료로 안성시 의료생협 등의 사업을 사례로 들어 설명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성 연구위원은 귀촌과 지역공동체 연계를 위해 지자체의 역할로 인접시군 간 연계협력 유도, 광역 단위 귀촌인 지역사회 활동에 대한 중간지원조직 육성, 도시-주변 농어촌 간 재능기부, 도농교류 활성 조직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하고, 정부와 민간이 해야 할 일도 제시했다.
첫 사례발표는 조원희 상주시 귀농귀촌정보센터장이 ‘상주에서 추진한 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 및 활동사례로 토리식품, 녹동마을, 승곡마을, 외서면 작은도서관 등을 소개했다. 조 센터장은 귀촌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인구를 늘리기 위한 정책접근이 아닌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농촌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과 연계한 소규모 정주공간 개발이 필요하다 말했다.
또한 지역별 주제를 가진 문화콘텐츠와 연계한 정주권 개발과 현금지원보다는 시스템과 교육 기반시설 마련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수상 거창군 이웃사랑복지재단 월평빌라 원장은 농촌은 생명산업의 중심이자 새로운 생태적 가치, 대안적 공동체, 그리고 미래적 가치의 생산기지라고 말하며, 이 지역 공동체의 활동사례와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발표해 관심을 끌었다.
채상헌 천안연암대학 교수의 사회로 열린 토론회에서 김성광 청도군 귀농연합회 회원, 김재경 커뮤니티와 경제 소장, 석태문 지역발전위원회 팀장, 윤승철 하동군 농촌사회과 계장, 김병준 농식품부 농어촌사회과 사무관 등이 토론을 한 뒤, 소기홍 지역발전위원회 기획단장이 정리를 하고 행사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