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2012-04-16 원예산업신문
남부지방 터널재배 시 멀칭용 비닐은 아주심기 3~4일 전에 미리 덮어 땅의 온도를 높여 주어 뿌리가 잘 내릴 수 있도록 한다.
터널재배 시 멀칭비닐 종류에 따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흑색 비닐로 덮을 경우에는 아주 심은 후 곧바로 환기구멍을 뚫어 주어 터널 내 기온상승에 의한 피해가 발생치 않도록 주의한다.
매년 역병이 문제시되는 농가에서는 아주심기 하루 전날 포트채로 역병 약제에 침지하여 약액이 상토에 충분히 흡착되도록 한 뒤 정식을 한다.
아주 심을 때는 육묘상에 심겨졌던 깊이만큼만 심도록 하고, 특히 역병 예방을 위해 고추 접목묘를 심을 때 접목부위가 땅에 묻히면 접목의 효과가 없으므로 접목부위가 땅 속에 묻히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마늘·양파=4~5월은 마늘·양파 구가 크는 시기로 물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역별로 가뭄이 계속되는 포장은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관수를 해주고, 물 주기가 곤란한 포장은 짚, 퇴비 등을 덮어 토양 수분 증발을 억제 시키도록 한다.
흑색썩음균핵병은 지상부가 노랗게 마르고 생육이 위축되며 포장의 군데군데 발생하여 점차 주위로 확산되고 심하면 밭 전체가 고사하는 병으로 발병한 포기는 발견 즉시 뽑아준다.
최근 연작포장이나, 웃자란 포장, 물 빠짐이 불량한 포장 등에서 양파 노균병이 발생되고 있어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방제를 철저히 해준다.
시설하우스를 설치할 경우에는 원예·특작 내재해형 규격 설계도·시방서(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10-128호, 2010. 12. 7)에 맞게 설치한다.
△봄배추=강풍피해를 받아 터널 및 비닐멀칭이 벗겨진 포장 신속 복구하고 시설봄배추 적기 수확 및 노지봄배추 적기 정식 실시한다.
봄배추를 재배할 때는 저온에 의한 추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봄철 기생재해 대책=해마다 지역에 따라 개화기 전후 늦서리 등 기상재해를 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기예보에 주의를 기울여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대개 오후 6시 기온이 10℃일 때, 하늘이 맑고 바람이 없는 날은 서리가 내릴 가능성이 높으므로 왕겨 등을 태우는 연소법, 방상펜에 의한 송풍법, 물을 뿌려주는 살수법 등 농가별 실정에 맞는 서리·저온피해 방지대책을 미리 세워두어야 한다.
최저기온 영하 2℃ 이하가 예상되면 서리피해 주의보를 발령하지만 지역에 따라 보도되는 최저기온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서리가 내릴 가능성을 미리 판단하여 대처하도록 한다.
개화기 피해를 받은 과원에서 그 후의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다음해 개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과, 병해충 관리 등 재배관리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개화기(開花期)에는 중심화가 피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피해 상습과원 및 피해가 예상되는 과원은 사전에 꽃가루를 확보하고, 피해상황을 잘 확인한 후 결실량 확보를 위해 소질이 나쁜 측화(側花)라도 인공수분을 시켜야 한다.
열매솎기(적과)는 정형과 판단을 위해 작업을 최대한 늦추어 실시하고, 마무리 열매솎기도 동녹 발생과, 기형과 등 장해가 뚜렷이 확인되는 시기를 기다려 실시하며 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나무의 수세 안정을 위해 열매를 최대한 착과시킨다.
△인공수분 및 꽃솎기=인공수분 실시는 방화곤충 비래가 적거나 서리, 저온 등의 기상재해에 의해 꽃 피해우려 시, 수분수 없이 단일 품종만 재배하는 경우이다.
사과 부란병은 주로 4~5월에 줄기나 가지에 발병되어 나무를 죽이거나 세력을 약화시키므로 방제를 철저히 한다.
복숭아나무는 한 그루에 25,000개 정도의 많은 꽃이 피지만 800~1,000개 정도의 꽃에서 과실을 수확하므로 동해를 받지 않은 과원에서는 꽃을 솎아 주어야 한다.
△화훼=팔레놉시스는 생장기 관리기간으로 생장기는 새 뿌리, 새잎발생으로 판단하고 4월중 생장기에 비료를 주도록 하며 농도는 1,500배 액비를 물 대신 가을까지 준다.
생장기에 들어가면 분갈이를 실시하며 온도는 20~28℃로 관리한다. 강한 햇빛은 피하고 50% 차광을 실시한다.
△특용작물=느타리버섯은 품종별 특성에 알맞게 버섯 발생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어 품질이 좋고 생육이 고른 버섯을 생산한다.
느타리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균 기르기 작업이 끝난 재배사는 배지의 온도를 내려 주고 봄 재배 생육온도인 13~18℃를 유지시켜 준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