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수출품목 부가가치 증대 집중연구

농림수산식품분야 정책연구과제 발굴ㆍ선정

2012-02-18     원예산업신문

올해 정책연구과제로 농식품 수출품목의 부가가치 증대와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안전성 등에 대해 집중연구가 진행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012년도 업무계획의 핵심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연구과제들을 발굴해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2012년 업무계획의 주요내용인 농어업 정예인력 육성, 식품산업 육성 및 수출확대, 농협개혁과 농수산물 수급안정 등을 위해 필요한 정책연구과제 선정했다.
농어업 정예인력 육성을 위해 세계와 경쟁하는 정예 농어업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및 교육성과 분석 연구와 2020년까지 정예인력 20만명 육성을 위한 농어업?농어촌 교육 10년 로드맵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한다.
식품산업 육성 및 수출확대 연구과제로는 농식품 수출품목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정책지원 시스템 개편방안으로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시대로의 진입을 앞두고 그간의 양적 성장에 대한 내실을 보완할 수 있도록 수출품목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정책지원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 인력양성에 필요한 교육기관별 목표수립 및 운영방안, 거점 교육기관 운영, 맞춤형(인재군별, 성장단계별) 교육 프로그램 등 연구가 진행된다.
농협개혁과 농수산물 수급안정을 위해 일선조합간 연합사업 확대, 중앙회-일선조합 경제사업간 연계 강화 및 관계 정립, 관련제도 및 정부지원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와 기후변화 대응력 제고를 위해 체계적인 농업기상정보를 지속 제공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해 식량의 안정적 생산기반을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도 진행된다.
직불제 확충을 위한 연구과제로 한미FTA 추가보완대책 중 하나인 조건불리지역 수산직불제의 원활한 사업집행을 위한 세부기준 마련을 위한 정책과제도 포함됐다.
농식품 안전관리 강화에서는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이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과 농식품 소비안전 정책의 외연을 확대, ‘생산에서 소비까지’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안심 기반 구축 도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