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수출증가 불구 단가 급락
농가 과당경쟁으로 6년새 1/8로 뚝
버섯의 수출이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으나, 업체 간 과당경쟁으로 수출단가는 수출단가가 8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출단일조직 육성과 버섯자조금 도입, 물류창고 확보 등의 버섯농가 구조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농식품부와 버섯농가 등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된 버섯 물량은 2만1566t, 4996만1000달러에 이른다.
2005년(988t, 2195만7000달러)과 비교하면 수출물량은 21.8배로 늘어나는 사이 금액 상승률은 2.75배에 그쳐, 수출단가가 대폭 하락한 형국이다.
연도별 수출물량과 금액은 △2006년 1832톤, 1473만9000달러 △2007년 3601t, 2545만7000달러 △2008년 8988t, 3133만6000달러 △2009년 1만6479t, 4271만8000달러 등이다.
이 기간 동안 ㎏당 수출단가는 2005년 22.1달러에서 △2006년 8달러 △2007년 7.1달러 △2008년 3.5달러 △2009년 2.6달러 △2010년 2.3달러로 10년 새 89.5%나 하락했다.
이처럼 수출단가가 급감한 것은 수출시 정부가 물류비를 부담해준다는 이유로 농가들이 해외시장에서 과열경쟁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버섯농가들의 지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출단일 조직을 만들어 수출창구를 일원화하고, 의무자조금제도 도입 등을 통한 버섯농가의 안정성을 꾀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편 지역농업네트워크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버섯은 최대 3개월간 냉장보관이 가능할 정도로 세계적인 재배기술을 보유했다”면서 “이로 인해 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 등에서 큰 인기를 누리는 대표적인 자유무역협정(FTA) 수혜 농작물”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하지만 농가 간 과당경쟁은 버섯의 수출단가를 대폭 낮추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수출단일조직을 만들고 버섯자조금제도 도입, 물류보관창과 확충 등이 마련되면 정부의 지원 없이도 세계를 선도하는 수출농산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