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체 농식품 수출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수출지향형 지원시스템 개편, 실용적 시장 개척마케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3일 aT센터에서 농림수산기술기획평가원(원장 유병린)과 농식품수출연구사업단협의회(회장 이용범 서울시립대 대학원장) 주관으로 열린 ‘2011 농식품수출연구사업단 포럼’에서 박신철 농림수산식품부 수출진흥팀장이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박신철 팀장은 “국내시장에서 정체된 농업이 수출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며, 수출을 통해 농가수익 보장과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한다”며 농식품 100억불 수출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발표했다. 박 팀장은 “국가 전체가 농식품 수출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수출지향형 지원시스템 개편, 실용적 시장 개척마케팅을 전개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100억불 수출을 위해서는 수출선도조직 중심의 조직화, 규모화와 수출지향형 농어업회사 설립, 첨단유리온실 등 수출전문단지 조성으로 수출기반을 조성하고 고부가가치 식품 수출확대, 해외 식재료 활성화 등 수출성장 동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전창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유통경제팀장은 수출브랜드화는 경쟁자 상품과 차별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차별화를 통해 현지 소비자들의 인지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전창곤 팀장은 “과채류 우수 수출브랜드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규모화, 조직화, 전문화 수출브랜드 육성집중 지원과 선도브랜드를 키우고,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 확보를 위한 전략을 세워 브랜드 상품의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염대규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산수출팀장은 농식품 수출동향과 전략에 대해 막걸리, 유자차, 인삼 등 학구 전통식품과 넙치, 화훼, 버섯 등 자본기술집약 품목이 수출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발표했다.토론에서 김월수 배수출연구사업단장은 대만배수출 쿼터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이날 포럼에 앞서 농식품수출연구사업단협의회는 농식품부가 aT센터에서 개최한 생명산업대전에 수출사업단 수출상품을 전시해 전시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수출 농산물에 대한 위상을 알렸다. /연승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