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2006-05-23     원예산업신문
△고추=고추의 받침대는 서둘러 설치하고 터널재배 포장은 고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고추의 웃거름은 일반재배는 아주심기 후 20일경, 터널재배는 30일경에 10a당 요소 6㎏을 주어 초기생육을 촉진시키도록 한다.고추밭에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된 농가에서는 웃거름으로 800~1,200배액의 물 비료를 주도록 한다.△마늘·앙파=한지형 마늘과 만생종 양파는 알맞은 토양수분을 유지시켜 주고, 논 등 낮은 지대의 포장에서는 강우에 대비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해 주도록 한다.마늘과 양파는 품종별로 제때 수확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마늘은 줄기와 잎이 1/2~2/3정도 누렇게 말랐을 때, 양파는 출하용의 경우 줄기가 70~80%, 저장용은 50~60% 잎줄기가 넘어졌을 때 수확하도록 한다.마늘과 양파는 수확시기가 늦어지면 저장력이 떨어지고, 수확시기가 빠르면 수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용 목적에 따라 수확시기를 조절하도록 한다.과습한 포장이나 지상부 생육이 지나치게 왕성한 포장에서 수확한 경우에는 저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곧바로 출하하도록 한다. 마늘의 주아를 채취할 포장은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주아재배로 생산된 마늘은 전량 종구로 이용하도록 한다.△과수 열매솎기=열매솎기가 늦어지면 저장 양분의 소모가 많아져 과실의 자람이 나빠지고 내년도 꽃눈 분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가능한 빨리 마치도록 한다.사과는 열매자루 부분이 원형인 열매보다는 평형과가 큰 과실이 될 가능성이 높고, 배는 배꼽이 없는 과실이 품질이 좋게 되므로 열매 상태를 보아 가면서 솎아주도록 한다.△포도나무 관리=포도는 생육이 왕성할 경우 계속적으로 순지르기를 하여 나무의 세력을 조절해 주도록 한다. 포도의 순지르기는 꽃이 피기 전 5~7일경에 포도송이 위 6~8번째 잎에서 잘라 주도록 한다.비가림 시설을 설치할 포도원은 꽃이 피기 전에 두께 0.05㎜ 비닐을 포도 잎으로부터 30㎝ 위에 씌워 고온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나무의 세력이 강한 포장은 비료 주는 양을 조절하여 나무의 세력을 안정시켜 주고 병해충은 예방위주로 방제한다.△과수 병해충 방제=사과, 배의 검은별무늬병은 비가 오기 전후나 잎에 병 무늬가 보일 때 방제하도록 하고, 비가 온 직후에는 붉은별무늬병과 동시에 방제가 가능한 치료용 약제로 방제하도록 한다.과수원의 새순이나 잎의 뒷면을 자세히 살펴보아 응애나 진딧물이 한 잎에 2~3마리 이상 보이면 적용 약제를 충분히 뿌려 주도록 한다.포도 애무늬장님노린재는 어린잎을 갉아먹다가 꽃송이로 이동하여 피해를 주게 되므로 아직까지 방제를 하지 못한 농가는 서둘러 방제하도록 한다.특히 포도원 주변에 벚나무, 살구나무, 매화나무 등 노린재의 기주식물이 있는 경우에는 예찰을 잘하여 방제토록 한다.△화훼=8월 출하 예정인 국화는 순지르기를 실시하도록 하고 노지 재배용 국화는 삽목상을 설치하여 묘목을 준비하도록 한다.장미는 시설재배에서 일교차가 심하면 생리장해가 발생하기 쉽고 개화 일수가 길어지게 되므로 밤의 온도를 15~18℃로 관리해 준다.구근 화훼류의 종구를 생산할 목적으로 재배중인 포장은 비가림재배로 생육을 촉진시켜 양질의 종구를 생산하도록 한다.노지에서 재배하는 화훼류는 주기적으로 물주기를 하여 생육을 촉진시키도록 한다.△특용작물=여름철 느타리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지 못한 농가는 서둘러 작업을 마치도록 하고, 고온에 의한 재발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볏짚?폐면 등 배지의 두께를 15㎝ 정도 조절하도록 한다.약초는 제초, 웃거름주기, 지주세우기 등 포장 관리를 잘하고 인삼 등 약용작물에 병해충을 방제할 때는 반드시 적용약제를 선택하고 안전사용기준을 지켜서 안전한 약재가 생산되도록 한다. 봄누에를 치는 농가에서는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심할 때는 밤에는 보온을 하여 24℃ 정도 유지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