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 / 재 / 수 / 첩

인삼계열화 수매자금부족 대책시급

2011-07-18     원예산업신문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인삼 계열화사업의 수매자금이 지난해보다 80억원 정도가 삭감돼 인삼농협들은 과연 농가와 계약재배 한 인삼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크다. 정부가 중심이 돼 2007년도에 계약재배를 500ha 해놓고 정부가 거기에 걸 맞는 수매자금을 지원하지 못한다고 하니 당장 인삼농협만 막막한 심정이다.정부는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는 차원에서 조속히 대책을 세워 부족한 수매자금을 만들어내야 한다. 그래야만 앞으로 인삼농가들이 정부를 믿고 농사를 지을 수 있지 않겠는가?지난해 수매한 2006년산이 500ha에 미달됐지만 446억원이 지원됐다. 그러나 올해는 2007년산 500ha 계약면적에 366억원만이 배정돼 약 80억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인삼 계열화사업은 정부가 중심이 돼 전근대적인 생산·가공·유통에서 벗어나 청정인삼 생산과 인삼가격 안정, 가공을 통한 부가가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일반적으로 인삼 수확시기는 9월부터 11월까지가 주를 이루나 태풍 등 자연재해 피해가 있을 경우에는 이번 달부터 당장 집행이 시작돼야 하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조속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농식품부 담당관은 지난해 12월 예산국회 때도 지적이 됐다며 추가로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에 지적이 됐으면 그때 대책을 마련했어야 한다. 인삼농가들은 차광망, 지주대 등 날로 상승하는 자재비와 인건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 국책사업이 많아 정부의 예산이 부족한 것도 알지만 약속한 것은 최소한 지켜 신뢰받는 정부가 되길 바란다. 계약재배 인삼은 엄격한 이력관리를 수반하기 때문에 청정인삼 생산이 가능하다. 안전성에 이상이 있게 되면 수매가 불허되고 재배농가에서 위약금을 물게 돼 철저한 이력관리를 할 수밖에 없다. 인삼농가는 판로가 안정된 계약재배를 선호하고 있으며 또한 계열화사업은 인삼가격 안정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이경한<취재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