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연구 양적확대 및 질적제고 필요
농진청 ‘한식 인체적용연구 국제워크숍’ 개최
2011-05-09 원예산업신문
곡류와 채소를 중심으로 한 동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 조화를 이룬 우리 한식을 세계적인 건강식으로 알리기 위해서는 한식 연구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4일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강당에서 국내외 한식 연구 관련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식 연구방법의 활성화 모색을 위한 ‘한식 인체적용연구 국제워크숍’<사진>을 개최했다.이날 워크숍에서 농촌진흥청 전통한식과 박영희 연구사는 ‘한식의 특성과 건강 관련 연구동향’ 발표를 통해 “한식의 건강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식생활과 질병 발생의 인과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장기 추적조사 및 인체실험 등 다양한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한식 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청 벨츠빌 인체영양연구센터 예이츠 소장과 존스 홉킨스대학 까발레로 교수는 “한식이 세계적인 건강식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역학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며 “이를 증명할 다양한 임상실험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북대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채수완 센터장은 ‘한식 섭취가 대사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발표에서 “비빔밥·김밥 메뉴의 한식 섭취자가 돈까스·햄버거 메뉴의 서양식 섭취자에 비해 인슐린 지수 및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적게 나타났다”며 한식이 대사증후군과 관련해 서양식에 비해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표했다.또한 그는 “발효식품을 포함한 한식 임상실험의 긍정적인 결과는 대사성 만성질환 이외에 노인성 질환의 예방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