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특작과학원 연구결과 시리즈(김영국 약용작물과 농업연구사 488)

■ 단삼 육묘이식 재배 기술 ■

2011-05-09     원예산업신문

   
꿀풀과에 속하는 단삼은(Salvia miltiorrhiza Bunge) 다년생 초본식물로 줄기는 30~100cm로 자라고, 전 포기가 부드러운 털에 밀집하게 덮여 있다. 꽃은 육묘 이식한 1년째는 6월 이후 부터 개화해서 종자가 맺히고, 2년째는 5월 상순부터 개화한다. 뿌리는 가늘고 길며 원주형이고 외피는 붉은 벽돌색깔이다. 한약재로 이용되는 단삼 뿌리에는 tanshinone(I, IIA, IIB), cryptotanshinone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서, 관상동맥을 확장, 혈압강하 작용이 있고,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며 심혈관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단삼의 기능성 성분이 알려지고, 한약재의 농약 잔류독성, 중금속 등에 대한 안전한 한약재 선호추세에 따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약용작물인 단삼의 국내 이식재배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재배환경 및 번식단삼의 재배적지는 해발 300m 이상 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이지만 토양 적응성이 강해서 수분이 적당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면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란다. 단삼은 주로 종자로 번식하며 뿌리를 잘라서 영양번식을 하기도 한다. 봄에 파종을 해서 육묘이식을 하면 첫해에는 식물체의 약 20~30% 정도만 추대가 되어 6월 이후부터 개화하기 시작하고, 2년째부터는 전부 추대가 되어 5월부터 개화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계속해서 꽃이 핀다. 꽃이 피고 한달 이후부터 종자가 맺히는데 꽃대 아랫부분의 잎이 2/3 정도 누렇게 변하고 아직 마르지 않았을 때 꽃대를 잘라서 햇볕에 말린 후에 종자를 채종하면 된다. 종자는 채종한 이듬해 바로 사용해야 하며 1년 이상 묵은 종자는 발아율이 아주 낮아 이용할 수 없다.▲시비 양지쪽의 토양층이 깊고 두터우며 배수가 양호한 사질 양토를 택하여 재배하는데 밑거름은 정식하기 2~3주 전에 10a당 퇴비 혹은 유기질 비료 2,000kg, 화학비료는 N20 - P2O5 - K2O = 6.3-4.8-10kg/10a를 시용한 후 밭을 깊이갈이 하고 정지작업을 한다. 웃거름은 생육기간 중에 잡초방제를 하고 2~3차례 시용하는데 제1차는 질소비료를 2.7kg을 시용 하고 2차, 3차 추비는 각각 인산 1.6kg, 칼리 2kg을 배합하여 시용한다. ▲육묘 이식 및 비닐 피복효과종자는 20℃ 전후의 온도에서 15일 정도면 싹이 나오며, 출아율은 70~80%정도이다. 종자의 크기가 작아서 밭에 직접 파종을 하게 되면 싹이 나올 때까지 수분관리를 해주어야 하므로 입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온실에서 약 2개월간 육묘를 해서 4월 하순경 정식을 하면 된다.이랑 넓이 90cm(고랑 넓이 60cm)로 두둑을 만들어서 흑색비닐로 피복하여 정식한다. 단삼을 심는 간격은 줄 사이 30cm, 포기사이 10cm 간격으로 정식을 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비료시용 후 바로 비닐피복을 하게 되면 가스피해가 발생되므로 반드시 비료를 시용하고 2~3주 이상 지난 다음에 비닐 피복을 하여 정식할 부분에 구멍을 미리 뚫어 주어 가스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흑색비닐을 피복해서 재배하면 생육초기의 잡초 방제를 하지 않아도 되고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 해주기 때문에 비닐을 피복하지 않은 것보다 생육이 양호하며 수량도 증가된다.▲수확수확은 육묘이식한 당년 가을 10~11월 또는 이듬해 봄 싹이 나오기 전에 수확하는데 전포기를 몽땅 뿌리를 수확해서 밭에서 햇빛에서 말려서 뿌리가 쉽게 꺾이지 않을 때 흙을 털고 잎을 잘라낸 다음 다시 좀더 말려서 80~90% 쯤 말랐을 때 다시 손질해서 완전히 건조되면 상품으로 된다. 특히 단삼 뿌리의 유효성분은 크립토탄쉬논(Cryptotanshinone)으로 뿌리의 표피에 집중분포 되어있는데 함량이 중심부위 보다 10~40배 이상이고, 가는 뿌리의 함량이 굵은 뿌리보다 높다. 그러므로 뿌리가 생장하여 굵어지면 함량이 낮아지므로 적당히 밀식해서 1년생으로 수확하면 되는데 10a당 수량은 280~350kg 정도 된다.▲맺음말결론적으로 단삼은 기후와 토양특성 등을 고려할 때 해발 300m 이상의 햇볕과 통풍이 양호한 지역에서 재배하여 유효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고품질 한약재를 생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또한, 단삼의 국내재배 확대와 안정적인 소득향상을 위해서는 단삼의 재배법 확립으로 안전한 고품질 한약재를 생산하여 수입산 한약재와의 차별화로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농산물(Local Food)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소비자 신뢰 및 국민건강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