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중부 지방의 고추 심는 시기는 5월 상중순경이므로 제때 심도록 한다.멀칭용 비닐은 아주심기 3~4일전에 덮어서 토양 수분을 유지토록 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흑색이나 배색 비닐을 사용토록 한다.플러그 묘를 심었을 때는 모가 너무 노화되거나 웃자라지 않은 것을 골라 심도록 하고, 모판을 이동하는 동안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키가 큰 고추 모를 심었을 경우에는 북을 주지 말고 곧바로 받침대를 세워 주도록 하고, 심는 깊이는 육묘상에서 심겨졌던 깊이만큼만 심도록 한다.△마늘·양파=마늘·양파는 알이 굵어지는 시기이므로 수분관리 등 포장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흑색썩음균핵병이 발생된 밭은 발병 포기를 일찍 뽑아주어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고, 발병부분은 표시를 잘 해 두었다가 수확 후에 토양소독을 해 주도록 한다.△시설 채소=한낮에는 환기를 실시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해 주고, 밤에는 보온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량 및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해 준다.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으면 잿빛곰팡이병 등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하여 작물이 필요한 양만큼만 물을 주도록 한다.병해충 방제를 할 때는 작물별로 적용 약제만을 사용토록 하고 반드시 안전 사용기준을 지켜서 안전농산물을 생산하도록 한다.△배 열매솎기=열매를 솎아 주지 않으면 과실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내년에 해거리를 하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열매를 솎아 주도록 한다.배는 하나의 열매 꼬투리에 5~8개가 열리는데 이중에서 3~4번 열매 한 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솎아 주도록 한다.열매솎기는 꽃이 진 후부터 가능한 빨리 해 주는 것이 좋으며, 신고 배는 꽃받침이 붙어 있는 열매는 솎아 주고 꽃받침이 없는 열매를 남겨야 배꼽 부위가 돌출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저온 피해 등 기상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의 과수원은 열매솎기 작업을 늦추고, 착과가 불량한 나무는 열매 꼬투리를 솎아내지 말고, 심한 경우 수세안정과 수량 확보를 위해 열매꼬투리 당 2개의 과실을 남기도록 한다.△포도 비가림재배=포도재배에서 병해 발생이 적고 늦서리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품질 포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비가림재배를 하도록 한다.포도 비가림용 비닐은 두께 0.05㎜ 정도가 좋으며 비닐은 포도 잎으로부터 20㎝ 정도 위에 씌워 고온 장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과수원 관리=과수원에서는 부직포 등을 나무 밑 땅위에 깔아주어 잡초 발생을 억제시키도록 한다.△화훼=국화, 카네이션, 안개초 등을 아주 심은 포장은 순지르기, 웃거름 주기, 병해충 방제 등을 해주도록 한다.아이리스, 글라디올러스 등 구근 화훼류의 절화 수확이 끝난 포장은 알뿌리를 크게 하기 위하여 물 주기, 병해충 방제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한다.고랭지를 이용하여 오리엔탈나리 종구 생산을 위한 아주 심기는 5월 상중순에 실시하고, 아주 심은 하우스에는 측면에 망사를 대고 비닐을 씌우도록 한다. 요즘 하우스에는 주야간 온도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낮에 환기하고, 밤에는 보온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버섯·약초재배=봄철 느타리버섯의 발생주기가 거의 끝나 가고 있으므로 경제성을 감안하여 버섯 생산주기를 조절하도록 하고, 잔유물로 인한 세균의 피해가 없도록 균상 관리를 깨끗이 하도록 한다.여름철 느타리버섯 종균 접종 적기가 5월 중·하순경이므로 봄철 재배가 끝나는 농가는 재배사의 소독을 철저히 하고, 볏짚 폐면 종균 등을 미리 확보하도록 한다.결명자·맥문동 등의 약초는 파종적기가 지나가고 있으므로 속히 파종작업을 마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