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작물 생산 보급 국가체계 구축

농진청, 산·학·연 공동, 중앙·지방 역할분담 추진

2011-04-04     원예산업신문
농촌진흥청은 지난해부터 약용작물 종자 생산 보급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올해부터는 관련 예산을 확보해 약용작물 종자 생산보급의 국가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명실공히 재배생산을 대폭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올해부터 추진되는 약용작물 종자 생산·보급 국가관리체계는 농진청이 주도하고 일부품목에 대해서는 각 도농업기술원 특화작목시험장과 공동으로 신품종을 육성하고, 권역별 관련 연구기관에서 원종과 보급종을 생산·보급하는 것이다.이번 약용작물 우수종자 생산·확대 연구는 총 50개 작목에 대해 지역, 권역별(중북부, 중남부, 남서부, 남동부)로 분담·수행하게 된다.연구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약용작물 종자의 대량생산 보급(15개 기관 참여) 이외에도, 유전자원 보존 및 증식·평가 차원의 기내대량생산기술연구(3개 기관), 종자·종묘·종근의 수확후관리기술연구(4개 기관), 약용작물 재료의 혼용·기원 및 원산지 불분명 해소를 위한 기원판별기술연구(2개 기관)를 수행하게 된다.또한, 약용작물 종자생산보급 국가관리체계 구축의 최종 목표인 정책입안과 제도적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3개기관 참여)도 구성해 올해 3월부터 국내 약용작물 관련 총 25개 산·학·연이 총체적으로 참여하게 된다.약용작물은 한약재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 식품, 한방 화장품, 생활소재 등의 원료로 이용되며, 한방레저산업 등 2, 3차 관련 산업을 포함해 약 6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농식품산업의 중요한 성장동력원이다.국내 약용작물 생산량은 1990년에는 9,179톤에 불과했으나 농진청에서 개발한 재배기술과 우수품종의 보급으로 2005년에는 50,172톤, 2009년에는 63,882톤이 생산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그러나, 약용작물 수요량은 2009년의 경우 식품 및 의약품용으로 약 16만톤이 필요했으나 그 중 약 40%인 6만여톤만이 국내 생산량으로 충당되고, 부족한 60%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 토종약용작물의 재배생산 확대가 절실한 실정이다.약용작물은 종류와 번식방법이 다양해 종자 생산체계나 유지가 매우 복잡해 그동안 농진청과 지방연구기관에서 구기자 등 22종류의 약용작물에서 64개 품종을 육성했으나 사실상 국가 주도의 보급체계가 없어 신품종의 보급률은 7% 수준의 매우 낮은 실정이다.또한 권역별로 우수 약용작물 종자를 보급할 수 있는 전문보급기관이 부족해 국내 약용작물 종자시장에는 기원이나 약효를 알 수 없는 종자가 유통될 우려도 매우 컸었다.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안영섭 박사는 "약용작물은 종자 생산체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에 의한 품종 개발체계가 필요하다”고 전하며, “유전자원의 수집·평가·보전과 유전자원 관리체계 구축은 물론 주요 품종의 성분 함량과 내충성 등 형질 개량 및 품질 향상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또한, “국가관리체계를 통해 경제성이 높은 구기자, 지황, 감초 등 약용작물 종자의 원활한 보급과 생산을 촉진함으로써 종자생산 보급률을 현재의 7% 수준에서 2015년까지는 37% 이상으로 높이고, 한약재의 품질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