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남부지방의 노지고추 아주심는 시기는 4월 하순~5월 상순경이므로 제때에 심도록 하고, 아주심기가 늦어질 경우에는 모의 간격을 넓히고 엽면시비 등 관리를 잘 하여 모가 노화되지 않도록 한다.멀칭용 비닐은 아주심기 3~4일전에 미리 덮어 땅의 온도를 올려 주어 뿌리가 잘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잡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흑색이나 배색(配色) 비닐을 덮도록 한다.키가 큰 모를 심을 때에도 깊이 심겨지지 않도록 육묘상에 심겨졌던 깊이만큼만 심도록 하고 포기 주위에 북을 주지 말고 바로 지주대를 세우도록 한다.아주 심는 간격은 높은 이랑 한 줄 재배는 이랑 90㎝에 30㎝ 간격으로 10a당 3,600주를, 두 줄 재배를 할 때는 이랑 150㎝에 30~35㎝ 간격으로 10a당 3,600~4,200주 정도 심도록 한다.△마늘·양파=마늘·양파는 구가 크는 시기로 물을 가장 많이 필요하므로 토양수분을 알맞게 관리한다.토양 수분이 부족한 포장은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관수를 해주고, 물 주기가 곤란한 포장은 짚, 퇴비 등을 덮어 토양 수분 증발을 억제시키도록 한다.흑색썩음균핵병이 발생된 포장은 병든 포기는 균핵이 퍼지기 전에 일찍 제거하여 병원균의 밀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논에 재배하거나 습해가 우려되는 포장은 배수구를 정비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시설 채소=한낮에는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를 잘하고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해 준다.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 병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환기를 잘하여 습도를 낮추어 주도록 하고, 가급적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에 물을 주도록 한다.수출용 채소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적용농약 사용 등 농약안전사용을 잘 지켜 허용기준치 이상 잔류 농약이 검출되지 않도록 하고 농약 과다사용으로 잔류량 검출이 우려될 경우에는 사전 검사를 받은 후 납품을 하도록 한다.△박과채소 바이러스 방제=봄철 수박 정식기에 오이 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GMMV)가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박과 채소 재배시 안전한 대목을 선택토록 한다. 수박 등 박과 채소 재배 시 정식초기에 잎이 오글거리거나 옅은 노란색의 모자이크 증상과 같은 이상증상이 나타나면 접촉하지 말고 농업기술센터에 신속히 연락하여 진단을 받은 후 오이 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로 판명되면 즉시 제거토록 한다.△인공수분 및 꽃 솎기=농약 오·남용 등 농업환경 오염에 의한 방화 곤충이 부족하거나 개화기의 기상이변, 수분수 부족과 화분 불친화성인 품종으로만 재배한 경우에는 인공수분을 실시한다.인공수분 시기는 해당 품종의 꽃이 40~80% 피었을 때 오전 8시부터 오후 늦게까지 할 수 있으나 화분관의 신장은 고온에서 잘 신장되므로 오전에 하도록 하고 기상상태가 불순하여도 실시하는 것이 좋다.개화기 때 고온 건조가 진행 될 때는 대기 습도를 낮추기 위하여 스프링클러나 SS분무기 등으로 나무에 물을 살포하거나 점적관수 또는 분사호스를 이용 관수를 하여 암술의 수정 능력을 지연 시켜 주어야 한다. 과실의 열매 맺는 양을 조절하고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열매솎기보다는 꽃봉오리나 꽃을 솎아 주는 것이 효과적이며 열매솎는 노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능률적이다.△봄철 기상재해 대책=해마다 지역에 따라 개화기 전후 늦서리 등 기상재해를 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기예보에 주의를 기울여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늦서리는 스프링클러 시설을 이용하여 물을 뿌리거나 방상팬(서리 방지 선풍기) 등을 작동하여 피해를 방지한다.△화훼=시설재배 하우스나 온실은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기로 낮 동안의 높은 온도로 꽃이 빨리 피는 피해를 받지 않도록 환기 관리에 유의한다.봄철에는 풀꽃류가 왕성하게 자랄 때이므로 1~2주일 간격으로 물 비료를 주도록 한다.△버섯=느타리버섯은 품종별 특성에 알맞게 버섯 발생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어 품질이 좋고 생육이 고른 버섯을 생산하도록 한다.느타리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균 기르기 작업이 끝난 재배사는 배지의 온도를 내려 주고 봄 재배 생육온도인 13~18℃를 유지시켜 주도록 한다. 버섯 발생을 유도한 후 비닐 피복 가장자리나 환기창 주위에서 버섯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비닐을 벗기고 재배사 안의 습도를 초기에는 90% 이상으로 조절하여 버섯이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하며 환기 관리에 유의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