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화훼 주요 병해충 ③
2006-04-17 원예산업신문
▲병의 전염경로 및 방제대책△토양전염성 병해=대표적인 병으로 시들음병, 묘잘록병, 균핵병, 뿌리썩음병, 세균병, 근두암종병등이 있다. 세균병은 증상에 따라 무름병, 세균성시들음병, 풋마름병, 궤양병 등이 있고 작물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 식물체의 유조직에 침입 물러 썩거나 물관부를 통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이들은 토양내에서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며, 주로 상처난 부위나 기공을 통해 침입한다. 시들음병이나 무름병은 채소, 화훼, 잡초 등 기주가 대단히 많다. 풋마름병이나 세균성시들음병은 어린묘 상태 또는 식물체가 웃자라거나 질소비료가 과다하면 많이 발생하고 토양이 고온 다습하면 많이 발생한다.근두암종병은 세균에 의한 병으로 병원균은 아그로박테리움으로 식물체에 침입하면 외피조직을 자극하여 그 부위에 혹을 형성하게 된다. 국화, 모란, 작약, 장미, 다알리아, 고무나무 등에 피해가 크며 이외에도 목본성 작물에 발생한다. 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하므로 접목, 삽목, 포기나누기 한 부분에 많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고온다습하거나 배수불량지를 좋아한다.△곤충의 흡즙 또는 접촉에 의해 전염되고 있는 병=바이러스병이 대표적인데, 바이러스는 자력으로 식물체내에 침입할 수 없고 다른 매개체에 의해 전염된다. 전염방법은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접목할 때 직접 이병되거나 즙액전엽 또는 곤충에 의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병된다.세균병은 곤충이 병든 식물체에 있다가 건전한 식물체로 이동하면서 병원균을 옮겨 놓거나 병든 식물체를 먹은 후 이동하여 건전한 식물체를 다시 가해할때 체내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입에 묻은 병원균이 전염되어 발생한다. 이외에도 작업중 손이나 도구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곰팡이병은 곤충이 여기저기 다니면서 곰팡이의 포자나 균사를 전염시켜 발생한다. 작업과정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전염되거나 달팽이, 선충, 톡톡이 등 해충에 의해서도 병원균이 운반된다.△공기, 빗물에 의해 전염되는 병해=바람에 의해 쉽게 전염될 수 있는 병은 잿빛곰팡이병, 반점성병, 탄저병, 흰가루병, 녹병 등이며 빗물이나 이슬에 의해 전염되는 병은 가지 마름병, 잎마름병, 반점성병들이다. 세균성 병들의 병원세균은 곰팡이병의 포자처럼 바람에 의해 쉽게 먼 곳까지 전염되지는 못하고 건조에 대해서 약하다. 그러나 병든 부분이 젖으면 외부로 세균액이나 점액이 나와서 바람에 의해 전염되거나 병든 잎이 바람에 날려서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세균성병은 점무늬세균병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