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농업인이 바라본 미래농업 / 정현덕 활기찬농원 대표
청년농업인이 바라본 미래농업 / 정현덕 활기찬농원 대표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2.04.27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농 경쟁력 갖기 위해 전폭적 지원 필요
다양한 농업관련 교육 … 작목재배 도움 커

“창업농을 하기 전부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화훼(알스트로메리아)에 대한 공부를 열심히 해왔습니다”

정현덕 대표(활기찬 농원)는 전남 광양시 옥룡에서 4,298m²(1300평) 규모의 화훼농원에서 알스트로메리아를 재배하고 있다. 또한 광양원예농협(조합장 장진호) 조합원으로 활동하며 꿈을 키우고 있다. 

정 대표는 “알스트로메리아는 연중 꽃이 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고 다양한 색상을 지녀 원예 및 관상용 식물로 인기가 많은 식물이어서 작목을 정했다”며 “가족체험 및 이벤트 등 체험활동 계획을 세우고 농업활동에 시작했다”고 했다. 

그는 서울에서 생활하던 당시에 아이들과 농촌체험을 다니면서 경험했던 체험 등이 아닌 교육과 치유가 가능한 꽃 체험농장을 구축하는 등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 귀농을 했다.

정 대표는 “평소에부터 꽃에 관심이 많아 작목을 선정하는데 애로사항이 없었다”며 “체험농장을 운영하기 위해 벤치마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광양원예농협에서 생산하는 꽃을 서울 등 공판장과 로컬푸드, 인터넷으로 판매하고 있다”며 “일상에서 꽃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농업의 부가가치를 증대한 6차산업을 지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가 안정적인 창업농으로 자리를 잡게 된 데는 광양원예농협와 광양시, 전남농업기술원의 도움이 컸다.  

그럼에도 시설을 늘리는데 어려움이 많다. 그는 “시설확장을 위해 알아보고 있지만 최근 농지가 및 자재가격의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주저하고 있다”며 “청년농이 대규모의 시설을 하려고 하면 시 등에서 대규모의 지원이 있어야 하는데 현실은 간단하지 않다”고 했다. 이는 정 대표처럼 한 사람을 위한 대규모 지원보다는 다수의 청년농을 늘리기 위해 지원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년농이 성공농업인으로 살아남기 위해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준비를 한 만큼 실패할 확률은 줄어들기 때문에 귀농귀초반, 친환경농업반, 마이스터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자신의 꿈꾸는 농장에서 작목을 재배하는데 도움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시화훼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정보와 노하우 등을 배우고 있는 농업인으로 성장·발전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