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안보 장기적 대응 방안 절실”
“식량안보 장기적 대응 방안 절실”
  • 권성환
  • 승인 2022.04.20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경연 ‘2022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식량자급률 지속하락 국내 생산 및 공급 감소 원인

한국의 식량자급률이 지속 감소하는 가운데 식량안보에 대한 장기적 대응과 수요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지난 15일 서울 aT센터 그랜드홀 5층에서 ‘새정부 농정 방향과 과제’를 대주제로 ‘2022 KREI 연구성과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김종진 연구위원은 “1980년대 70%대에 달했던 식량자급률이 올해 48.6%를 찍은 뒤 2025년 48.3%, 2027년 47.5%까지 점점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리나라 경지면적은 연평균 0.6%씩 줄어든다. 지난해 전국 경지면적은 154만 7,000ha로 전년보다 1.2%(1만8,000ha) 줄었다. 식량자급률은 쌀·보리·밀·콩·감자·고구마·옥수수 등 식량작물의 국내 소비량 대비 국내 생산량 비율이다.

김 연구위원은 식량자급률 하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 국내 생산과 공급기반 감소를 꼽았다. 이어 “2016~2020년 기준 노지채소 소득 213만1,000원인 반면 식량작물 소득은 143만8,000원에 불과하다”며 “낮은 수익성과 농지감소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매년 비슷한 곡물량을 수입함에도 수입곡물가격이 국내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수입가격의 변동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공공비축 물량을 확대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제1주제 발표 토론에서 임송수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식량 안보를 두고 보았을 때, 세계 여러 국가 중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 상황이 가장 좋지 않다”며 “하지만 아직도 식량안보에 무관심하고 미흡한 부분이 많아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식량 자급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함에도, 피드백 없이 계속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중국의 식량 자급률이 70%대로 떨어졌는데, 지금이 아닌 10년 후의 세계 식량 수급 상황을 전망하고 장기적 대응과 수요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