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농식품 유통 및 소비단계 폐기물 감축방안’ 연구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농식품 유통 및 소비단계 폐기물 감축방안’ 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농식품 폐기 현황과 실태를 파악·분석해 사전적 문제 해결방식의 감축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책임자인 홍연아 박사는 “국내에 공급된 농식품 전체에서 폐기되는 비율은 약 14%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약 20조 원으로 국내 농업부문 총 부가가치의 약 70%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한, “농식품 폐기물 처리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온 기존의 사후적 접근방식의 경우, 처리된 폐기물로 생산된 사료의 수요처 부재 문제 등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며, “농식품 폐기물이 애초에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하는 방식으로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농식품 폐기 방지를 위한 사전적 문제 해결방식의 실천전략으로 농식품 재분배, 소비자 행동변화, 공급체계 효율화, 농식품 폐기 방지 거버넌스 등 크게 네 가지 유형의 대안을 제시했다.
농식품 재분배를 위한 정책 대안으로 농식품 기부, 마감할인서비스 이용 확대와 집단급식소의 미배식 음식 재활용 등을 제안했다. 특히, 농식품 기부를 강조했는데, 향후 기업의 ESG 경영 및 기부문화 활성화로 기부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함께 소비기한 표시제 등이 도입될 경우 식품 기부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식품 기부를 통한 농식품 폐기 감축은 연간 최대 2,362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