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이 완료된 제품 중 혁신성과 공공성을 인정받은 ‘전동 농업용 고소작업차’ 등 6개 제품이 농식품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신규 지정됐다.
농식품부가 혁신제품으로 신규 지정한 ‘전동 농업용 고소작업차’는 2014년도부터 3년간 농식품부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됐다.
고지대 및 경사지 과수원 작업 시 전복·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수평 유지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며, 운반과 상하차 작업도 가능하다.
제어기 및 원격제어 장치 등 다양한 편의장치가 있으며 조작이 쉬워 고령자나 여성 작업자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무선조정 자주식 시금치 수확기’는 2018년도부터 3년간 농식품부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됐다. 인력에 의존하던 시금치 뿌리의 절단·수집·운반 과정을 기계화함으로써 인력 작업 대비 작업 능력이 31배이며 생산비가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친환경 미생물 병해 관리제’는 2018년도부터 2년간 농식품부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됐다.
고사리 잎과 줄기를 마르게 하는 고사리 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해 국내 토종 미생물을 활용해 개발했다. 고사리 마름병 방제는 물론, 식물의 진균, 세균병 예방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친환경 나방류 방제제’는 2011년도부터 5년간 농식품부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됐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살충물질과 식물추출물을 주원료로 제조됐으며, 나방류 유충, 노린재류 등 해충의 섭식 저해 등을 통해 방제효과를 나타내고 밭작물, 벼농사 등 다양한 작물에 활용 가능하다.
이번에 지정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은 3년간 조달청 혁신장터에 등록 후 정부부처,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공공조달 시 수의계약이 가능하고, ‘혁신제품 시범구매 및 구매목표제’의 대상이 된다.
한편, 기존 유침 주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육아종 및 주사침 오염, 바늘 부러짐 등의 단점을 개선한 ‘가축 접종용 분사식 주사기’와 식물기반 형질전환 기술을 통해 생산돼 병원성과 바이러스 전파 위험이 없는 ‘허바백 돼지열병 그린마커주’ 또한 이번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
농식품부 김원일 농업생명정책관은 “이번에 지정된 6개 제품을 시작으로 더 많은 농식품 분야 우수 기술이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는 등 농식품 연구개발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공공시장 초기 판로 지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