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분야 R&D 객관적 점검·평가 필요 강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는 지난달 28일 농진청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날 진행한 업무보고에는 경제2분과 이창양 간사, 왕윤종·유웅환·고산 위원, 농림축산식품 분야 전문·실무위원, 기획조정분과 전문·실무위원이 참석했다. 농진청에서는 김두호 차장과 주요 국장들이 참석했다.
업무보고는 농진청의 일반 현황, 지난 5년간의 핵심 정책 평가, 당면 현안 점검, 공약 이행 방안과 신 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주요 국정과제 검토 순으로 진행됐다.
농진청은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해 ▲청년농업인의 기술 창업 지원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국산 품종 개발·보급 확대 ▲데이터 기반 디지털농업 기술의 개발 등에 대해 보고했다.
탄소중립 농업의 실현을 위한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국가 고유계수 개발 ▲축산 메탄 저감 사료 개발 ▲토양탄소저장 기술 등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개발·보급 등도 거론됐다.
인수위와 농진청은 ▲농촌공간데이터 수집과 생활권 진단기준·지표 개발 ▲여성농업인이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소형농기계 개발 등 여성농업인의 안전·복지 기술 지원 방안도 논의했다.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을 확충하기 위한 지역특화작목 육성 방안 등도 다뤄졌다.
인수위원들은 “농업 분야 R&D 결과의 가치가 평가받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도록 객관적인 점검·평가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제적으로 역량 있는 기관과 공동연구 등으로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내 수요가 높고 자급률이 낮은 밀 종자 개발에 적극 노력할 것도 당부했다.
1차 산업에 집중된 연구개발(R&D)과 기술 지원을 2차·3차 산업과 연결해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가치사슬적 관점에서 벤처를 키울 것도 요청했다.
농업 분야의 R&D, 종자 육종, 기계화·자동화 등을 민간이 주도하고 혁신 생태계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농진청의 연구 데이터가 개방돼 농업의 혁신에 기여하도록 해야 하며, 인터페이스(API) 방식을 적극 활용할 것도 제안했다.
인수위는 “업무보고 내용을 토대로 향후 농진청, 유관기관과 논의해 당선인의 국정철학과 공약을 반영한 농림축산식품 분야의 국정과제를 선정하고 이행 계획을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