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융복합산업 경영체당 매출 2억3,850만원
농촌융복합산업 경영체당 매출 2억3,850만원
  • 윤소희
  • 승인 2022.03.21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식품부, ‘농촌융복합산업 기초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1 농촌융복합산업 기초실태조사’ 결과, 농촌융복합산업 종사자는 32만 명, 경영체 당 평균 매출액은 2억 3,85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농촌융복합산업은 농업인 등이 농촌지역의 농산물·자연·문화 등 유무형의 자원을 식품가공 등 제조업, 유통·관광 등 서비스업과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년마다 농촌융복합산업 현황 및 특성 변화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2021년 조사는 전년도에 농촌융복합산업을 영위한 경영체의 운영현황, 종사자, 사업유형 등을 조사하는 경영체조사와 소비자의 농촌융복합산업 상품·서비스 이용 경험에 대한 소비자 조사로 나눠 진행됐다. 

‘농촌융복합산업 기초실태조사’의 주요 결과에 따르면, 농촌융복합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경영체는 총 10만 4,067개이며 이 중 농가가 89,525개로 전체의 86%, 법인은 14%인 14,542개다. 

농촌융복합산업인증을 받은 경영체는 농가 553개, 법인 1,252개로, 총 1,805개며, 대표자가 귀농·귀촌한 경우는 전체의 17.2% 수준이었다.

또한, 농촌융복합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은 327,645명으로 경영체 당 평균 3.1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영체 유형별 평균 고용인원은 법인 7.8명, 농가 2.4명, 인증경영체 7.8명, 미인증 경영체 3.1명으로 법인, 농촌융복합산업인증 경영체의 평균 고용인원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농촌융복합산업 경영체의 전체 매출액은 23조 2,564억 원으로 1차 매출액이 8조 8,761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차 7조 3,106억 원, 2차 7조 697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체 당 평균 매출액은 2억 3,850만 원이며, 인증 경영체의 평균매출액은 14억 5,540만 원, 미인증경영체의 평균매출액은 2억 1,560만 원이다.

아울러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1차×3차 산업이 47.6%로 가장 많았으며, 1차×2차×3차 산업 29.8%, 1차×2차 산업 22.6% 순으로 많았다. 

2차 산업 영위업체는 대부분 식품가공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3차 산업 영위업체의 세부업종은 직매장 70.3%, 체험관광 7.7%, 식음료점 3.3% 순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