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정착지원 로드맵 마련
귀농귀촌 사전 준비에서 정착까지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담은 ‘제2차(2022~2026)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이 마련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종합계획을 5년마다 귀농귀촌 정책의 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수립하고 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49만 2천여 명이 새로운 삶을 찾아 귀농귀촌했으며, 앞으로도 비대면 시대, 일·삶 균형(워라벨) 등의 분위기에 맞춰 귀농귀촌 흐름은 지속될 전망임에 따라 농식품부는 제1차 종합계획의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제2차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도시의 농협을 활용해서 사전 준비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국 특·광역시(7개) 및 모든 시(78개) 지역의 농협(85곳)을 통해서 자산관리 및 농지·주거 관련 컨설팅, 교육을 제공한다.
또 유사한 관심(지역·품목)을 지닌 도시민들이 함께 준비하며 농촌 정착까지 서로 이끌어주는 귀농귀촌 준비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지난해 처음 시행해 큰 관심을 끌었던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확대하며, 테마별 특화마을을 도입, 밀도 높은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농식품부는 부처 간 협업을 통해 각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지원사업과 연계해 농촌지역 내 취창업을 활성화하고, 농촌지역 농협 127곳에 ‘영농 네비게이터’를 운영하며, 귀농인들의 영농 초기 정착을 돕는 컨설팅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청년 귀농인이 안심하고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제도 개선을 통해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농이 실제로 필요한 농지를 우선 제공한다.
농촌 공간의 정비를 통해 농촌을 보다 쾌적하고 살기 좋은 공간으로 만들고, 주거와 생활SOC를 갖춘 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농산어촌 주거플랫폼과 청년 농촌보금자리 사업을 확대하며, 지역의 빈집을 활용한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도 단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귀농귀촌인에게 각 부처·지자체의 정책, 농지·주거, 일자리 등 광범위한 정보·서비스를 관계 기관 시스템과 연계해 통합 제공하는 ‘귀농귀촌 플랫폼’을 구축한다.
‘귀농귀촌 플랫폼’이 개방되고 유연하게 운영되도록 범정부 운영협의체를 구성해 상시 업그레이드하고, 민간의 참여도 유도하는 등 정보와 서비스 제공 기능을 한 단계 높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