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작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과 피해 대책
약용작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과 피해 대책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1.02.22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육종기관, 새 품종 보급시 반드시 건강한 묘 보급해야
신품종 양성과정 내 바이러스 검정단계 추가 필요

바이러스(virus)는 라틴어로 독(毒)을 뜻한다. 고대 로마 사람들은 뱀의 독이나 미친 개의 타액을 바이러스라고 불렀다고 한다. 현재 세계에는 6천 여 종의 바이러스가 알려져 있으며 이 가운데 1,000여 종의 바이러스가 식물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는 숙주 식물체로부터 에너지원을 얻기 때문에 숙주의 생리를 방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바이러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산하는데 식물 바이러스는 바이러스를 보유한 생명체의 즙액 접촉, 또는 진딧물 같은 곤충을 통해 확산이 일어난다.

우리나라에서 한약재 재료로 재배하는 약용작물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서 주로 재배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병에 관한 정보가 많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7년부터 약용작물 주산지에서 재배하는 주요 약용작물인 지황, 마, 천궁, 삽주, 백하수오 및 작약으로부터 바이러스병의 발생상황을 조사했다.

지황으로부터 지황모자이크바이러스(ReMV), 유카이모자이크바이러스(YoMV), 잠두위조바이러스2(BBWV2), 질경이모자이크바이러스(PlAMV) 및 신종 사상형바이러스(ReV1), 총 5종의 바이러스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 양상은 조사한 모든 지황에서 3~5종의 바이러스가 복합감염 됐으며, 증상이 없는 개체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바이러스병에 감염된 지황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잎의 황화 증상과 심한 모자이크 증상이다. 둥근마에서는 잠두위조바이러스2(BBWV2)와 마괴저모자이크바이러스(CYNMV)가 주로 검출되었고, 자색마에서는 마모자이크바이러스(JYMV)가 검출되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로부터 나타나는 증상은 모자이크, 조직괴사, 원형반점 및 황화 증상이다.

천궁에서는 천궁엽맥황화바이러스(CnVYV-1, CnVYV-2), 천궁바이러스X(CnVX), 사과줄기홈바이러스(ASGV), 동자꽃모틀바이러스(LycMoV) 등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가장 많이 검출되는 바이러스는 천궁엽맥황화바이러스이며, 일천궁에서는 천궁엽맥황화바이러스-2가 음성 등 5개 지역에서 조사한 모든 개체에서 검출되었다. 천궁엽맥황화바이러스바이러스는 천궁바이러스X, 사과줄기홈바이러스와 함께 복합 감염된 경우도 많았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천궁에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잎이 누렇게 되는 엽맥황화 증상이다. 큰꽃삽주에서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가 검출되었으며, 토종삽주에서는 신종 바이러스인 삽주약한모틀바이러스(AMMV)가 검출되었다. 큰꽃삽주의 경우 재배지에 따라서 다르나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주율이 약 0~20% 가량으로 나타났으며, 감염주는 모틀 및 모자이크 증상과 함께 황화증상을 나타냈다. 토종삽주는 삽주약한모틀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더덕에서는 더덕엽맥황화바이러스(CoVCV)가 검출되었다. 또한, 백수오 및 작약에서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지황, 마 및 천궁은 덩이뿌리를 나누어 번식하여 재배하는 작물로 다양한 바이러스가 복합감염되어 있었다.

바이러스는 숙주식물로부터 에너지원을 얻어 증식하는 기생체이므로 바이러스 감염은 대부분 숙주식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영양체를 약용으로 사용하는 작물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이 작물 생육을 저하시켜 수확량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약용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들은 묘를 구입할 때 되도록이면 바이러스병에 감염되지 않은 묘를 구입해야 한다. 약용작물을 육종하는 기관에서도 새로운 품종을 보급할 때 반드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건강한 묘를 보급하도록 한다. 아울러, 신품종 양성과정에 바이러스 검정 단계를 넣어서 신품종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도 농업기술원에 소속된 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유전자원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하는 것이 자원의 가치를 더 높이는 것임을 인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정봉남<농진청 원예원 원예특작환경과 농업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