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과일류 농업관측
10월 과일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0.10.19 1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과 재배면적 전년대비 4% 감소
배 생산량 전년대비 22% 줄어

주요 과일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생육상황 = 저온피해, 생리장해(동록, 엽소) 발생으로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긴 장마로 방제가 원활하지 않아 병해충 발생이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갈색무늬병·탄저병 등 발생으로 전년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 = 전년대비 16% 감소가 전망된다. 생산량은 45만1천톤이다.
재배면적은 폐원 및 화상병으로 전년대비 4%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단수는 저온 및 태풍 피해와 장마 이후 병해 증가로 전년대비 12% 감소가 전망된다.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20% 감소가 예상된다.
원인은 저온 및 태풍 피해와 생육 부진으로 사과 생산량이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양광·감홍·조숙계후지·시나노스위트 등이 금년 추석 성수기에 출하되어 출하량이 감소폭 확대됐다.
△가격전망 = 10월 양광 가격은 전년 31,600원 대비 상승했으며 양광 도매가격은 상품 52,000~57,000원/10㎏이다.

■참외
△생육상황 = 장마 이후 다습한 기상 영향으로 전반적인 병해충 발생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있다. 긴 장마로 인해 생리장해(열과·과피오염·바람들이현상 등) 발생률이 크게 증가했다.
△생산량 = 전년대비 2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은 15만8천톤이다.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5% 감소, 단수는 전년디비 17%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봄철 냉해로 인한 결실률 저하와 장마·태풍 등 기상악화로 작황이 부진하며 긴 장마로 인한 토양과습, 일조부족 등으로 뿌리손상 및 조기낙엽현상이 발생하여 과실 비대가 저조하다.
비상품과 비율은 전년대비 7%P 증가했으며 봄철 저온피해로 인한 기형과 발생 및 태풍으로 인한 낙과·상처과로 발생했다.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22% 감소했다. 원인은 저온피해 및 생육 부진으로 생산량이 전년대비 감소했으며 설 명절 출하를 위해 대과 및 상품과 위주로 저장 의향이 증가했다.
△품질 = 기상악화로 비상품과 비율이 높고, 장마 영향으로 과실 비대 저조 및 당도가 저하될 것으로 보인다. 전년대비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신고 가격 전년대비 28,400원 상승했다. 신고 도매가격은 상품 46,000~50,000원/15㎏이다.

■감귤
△노지온주 생육상황 = 생육기가 적절한 강우로 과실 비대 전년대비 양호하다. 봄철 유과가 돌풍으로 상처과가 많았던 전년대비 상처과 및 결점과 발생이 감소했다.
전반적인 해충 발생은 전년대비 감소했다. 다만 여름철 장마와 태풍 영향으로 병해·열과·일소가 발생 증가했다.
△노지온주 생산량 = 2020년 노지온주 생산량은 전년대비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은 50만5천톤이다.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1% 감소, 단수는 전년대비 4%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과 비대기 충분한 강우로 과실 비대 양호, 해거리(제주시 중심)로 착과수가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노지온주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극조생온주 재배가 많은 제주시의 생산량 증가로 전년대비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노지온주 품질 = 상처과·흠집과 발생이 적고, 소비자 선호 높은 규격(25~M) 출하가 비중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대비 대체로 양호할 듯하다.
△가격전망 = 10월 노지온주 가격은 전년대비 1,500원 하락했다. 노지온주 도매가격은 1,200~1,500원/㎏이다. 주요 과일 출하량 감소 영향으로 노지온주 가격 하락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생육상황 = 일조량 부족으로 생육 지연과 탄저병·노균병·갈색무늬병 등이 발생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착색과 당도 등 전반적인 생육이 부진, 농업관측본부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년대비 ‘생육 나쁨’ 응답률이 59%를 차지했다.
△생산량 = 전년대비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은 13만9천톤이다.
캠벨얼리, 거봉 생산량은 성목면적과 단수 감소로 전년대비 각각 29%, 22%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샤인머스켓 생산량은 성목면적 57%, 단수 26% 증가로 전년대비 9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설포도 생산량은 2만5천톤으로 전년대비 5%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노지포도 생산량은 11만6천톤으로 전년대비 1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성목면적 전년대비 7% 감소, 열과·탄저병·노균병으로 단수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0월 캠벨얼리·MBA 출하량은 전년대비 감소, 샤인머스켓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캠벨얼리·MBA 출하량은 생산량 감소로 전년대비 각각 28%,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샤인머스켓 출하량은 생산량 증가로 전년대비 9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캠벨얼리는 출하량 감소로 전년 14,900원 대비 높은 상품 16,000~18,000원/5㎏이다. MBA는 출하량 감소로 전년 12,200원 대비 높은 상품 14,000~16,000원/5㎏이다.
샤인머스켓은 출하량이 증가하나 높은 소비자 선호로 전년 23,800원 대비 높은 상품 24,000~26,000/2㎏이다.

■단감
△생육상황 = 일조량 부족으로 전반적인 생육상황 전년대비 부진하다. 연이은 태풍으로 가지 부러짐, 잎 떨어짐 피해가 발생했다. 잦은 비로 병 발생 전년대비 큰폭 증가했다. 농업관측본부 표본농가 모니터 조사결과에 따르면 탄저병 66%, 흰가루병 48%로 발생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 = 전년대비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은 9만2천톤이다.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단수는 전년디비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조량 부족으로 생육 지연 발생, 과실 비대 전년대비 부진하다.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11월 이후 출하량은 전년대비 5%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품질 = 일조량 부족으로 크기와 당도 전년대비 부진, 태풍으로 상처과 발생이 많아 비상품과 비중이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대비 좋지 않을 듯 하다.
△가격전망 = 10월 부유 가격은 전년대비 24,300원 상승했다. 부유 도매가격 상품은 25,000~27,000원/1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