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 농업진출 기업 관리체계 구축 절실
북방 농업진출 기업 관리체계 구축 절실
  • 조형익
  • 승인 2020.07.06 11: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영전반 정보 수집 통해 현실적 정책 지원 필요
KREI, ‘북방경제협력 활성화 방안’ 통해 밝혀

북방지역 농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을 위해서는 해외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지난 3일 ‘농업 분야 북방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촉진 방안’연구를 통해 이같이 제기했다.

연구책임자인 김종선 위원은 이 연구를 통해 해외농업개발 신고업체 관리체계가 부재하고 해외농업개발 현황 및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가 관리하는 ‘해외농업개발 신고기업 리스트’에는 해외진출 기업, 진출을 계획 중인 기업, 사업 실패로 철수한 기업, 계획 중 포기 기업 등 다양한 기업이 혼재되어 있지만, 현재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김 위원은 해외농업개발 신고 기업에 대한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기업의 현 상황을 철저히 파악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매출액·수익률·고용인원 등 경영 전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보다 현실적인 정책지원 방향과 추진전략 제시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진이 우리나라 농기업의 해외 진출 실태를 분석한 결과, 북방지역에 진출한 기업들과 정부 보조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남방지역 진출기업과 융자사업 참여기업들보다 사업지속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향후 정책 지원사업 개선사항으로 세부적인 기업 수요 파악, 사업지원범위 확대 및 지원요건 완화 등을 꼽았다.

북방지역 진출기업의 애로사항으로는‘인허가 등을 위한 법·제도·규제 등 행정절차의 어려움, 운영비 등 필요자금 확보, 해당 국가의 시장정보 미흡, 유통 및 인프라 부족’ 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분석해 북방지역 농업분야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추진 과제로 ‘북방지역 권역별 거점 국가 육성, 농식품산업 해외진출지원사업 개선, 해외정보 수집 및 제공시스템 구축, 농업투자협력 지원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특히, 러시아 연해주(동부권), 카자흐스탄(중부권), 우크라이나(서부권)를 거점국가로 각 권역의 투자 유망 분야를 고려해 ODA사업과 연계하고, ‘농업투자협력지원센터’를 설치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투자를 유도하고 거점 국가의 권역 내 유통과 물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