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차원 수확후관리 시스템 도입해야”
“정부차원 수확후관리 시스템 도입해야”
  • 류창기 기자
  • 승인 2019.12.09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관된 품질관리 동반되지 않으면 스마트팜 정책 성공어려워
농식품스마트유통포럼, 신선농산물 수출확대 토론

개발도상국 지위 포기, 아세안 국가들과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타결에 따라 국내 농업의 부정적인 여건 속에서 우리 농산물의 해외 수출확대를 위해 정부차원의 지속적인 수확후 관리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3일 한국농식품스마트유통포럼이 개최한 신선농산물 수출확대 방안 국회 토론에서 농업회사법인 ㈜합천유통 장문철 대표는 “그동안 비행기로 일부 수출하던 고구마를 올해 선박으로 홍콩과 싱가포르에 시범 수출하는데 성공했다”며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실제 농산물 신선 유통에 대한 결과물들이 농업 수출현장에 즉시 적용되고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장문철 대표는 “정부 스마트팜 혁신벨리에서 생산된 농산물이 이력 추적 등 수확 후 품질관리 일관 시스템이 적용되어 수출경쟁력을 가지고 해외시장에서 소비되어야만, 국내 수급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며 “만일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 일관된 품질관리가 동반되지 않아 수출경쟁력을 잃는다면 스마트팜의 정책 성공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정부 차원의 스마트유통 체계 확립 및 농산물 수출 품질인증제 도입이 필요하다”며 “신선농산물 수출확대를 위해 딸기 사례의 이산화염소 훈증 방식과 같이 수출현장에 적용될 수 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농산 조기심 대표는 “농산물 생산지 각 지역특성에 맞는 강하지만 소규모인 ‘강소 APC’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해외로 수출되는 농산물품질관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확후 관리 수준에 비해 한단계 높게 유지되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밝혔다.

조 대표는 “예를 들어 일본 파프리카 시장에서 네덜란드산이 한국산보다 가격 우위에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다”며 “이같은 차이는 수확후 품질관리 수준 차이로 발생하기 때문에 농산물 수확후품질관리센터가 건립되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이에, 농식품부 유통정책과 이정삼 과장은 “농산물 스마트 유통방식에 공감한다”며 “수확후 저온유통체계 구축과 이력추적 관리는 스마트유통의 선결조건으로 정부는 현재 수출농산물의 선도 유지를 위해 예냉설비, 이산화탄소 흡수제, 훈증살균제, 선도유지팩 등을 지원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도 농산물 스마트 유통을 통해 비용이 들더라도 농산물 유통, 수출 선진화가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화답했다.